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99

테이핑의 효과와 감는 방법 대부분의 클라이머는 힘줄과 인대, 건초를 보호하기 위해 테이핑을 합니다.즉 손가락을 구부려 홀드를 잡을 때 부상을 방지하려는 것입니다.우선 홀드를 잡을 때 손가락 근육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자세히 알아보아야 합니다.근육은 수축하고 이완하면서 우리 몸을 움직입니다. 근육 끝에 있는 힘줄은 근육을 뼈에 단단히 고정합니다. 그런데 손가락을 안으로 구부리는 근육은 일반적인 근육과 살짝 다릅니다.수축과 이완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손가락에서 멀리 떨어진 아래팔에 있습니다.그래서 힘줄이 무척 긴데 그것이 손목, 손바닥, 손가락 안쪽을 통과해 손가락 끝의 뼈까지 이어져 있습니다.손가락을 구부려 홀드를 잡고 있다 보면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가 아니라 아래 팔에 펌핑이 일어납니다.뼈를 따라서 근육의 수축을 전달해 손가락을 구부.. 2025. 2. 22.
다양한 동작으로 클라이밍 하기, 테이핑 방법 런지는 뛰어서 덤벼들어야 손이 닿는 홀드를 잡는 기술입니다.데드 포인트와는 다르게 발로 발 홀드를 강하게 차고 뛰어올라야 하므로 일단은 무릎이 충분히 구부러지는 높이의 발 홀드를 디뎌야 합니다. 또 데드 포인트와 마찬가지로 반동을 잘 활용해야 좀 더 멀리 닿을 수 있습니다.기본은 역시 셋까지 센 뒤에 몸을 앞뒤로 흔들고 나서 뛰어오르는 동작입니다.제자리멀리뛰기를 생각해 보면 알겠으나 반동 없이 뛰어오르기는 매우 어렵습니다.잡고 있는 홀드가 너무 작거나 미끄러워 반동을 충분히 줄 수 없을 때라도 최대한 스윙을 하고 타이밍을 맞추면 성공할 수 있습니다. 뛰어오를 때는 거리에 약간 여유를 두고 뛰어올라 홀드를 잡을 때 팔꿈치가 약간 구부러지는 것이 좋습니다.조금이라도 더 높게 뛰어야 안정적으로 홀드를 잡을 수.. 2025. 2. 21.
클라이밍 무브의 응용 더하기 힘을 쓰지 않고도 몸을 고정할 수 있는 무브 중 하나는 드롭 니입니다.핸드홀드를 잡기 어려운 쪽의 발을 안쪽으로 비틀어 몸을 고정시키면 됩니다.몸이 고정이 되기 때문에 힘이 없어도 손을 뻗기 쉽고 힘도 절약이 됩니다.드롭 니는 홀드가 튀어나와 있는 클라이밍 센터에서 특히 자주 쓰이는 기술입니다.반대로 야외 암벽에서는 그다지 쓰이지 않습니다.무릎에 상당한 부담을 주는 동작으로써 너무 의존하지 말고 꼭 필요할 때만 쓰면 좋습니다.얕은 드롭 니는 드롭 니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으며 트위스트의 현실적 형태로 볼 수도 있습니다.능숙한 클라이머들은 이 무브를 자연스럽게 자주 씁니다.아웃사이드 스텝으로 오르면서 홀드를 잡을 때 발과 몸통을 가볍게 비트는 것이 포인트입니다.이 역시 팔 뿐만 아니라 다리와 등의 힘을 함.. 2025. 2. 20.
쉽게 오르기 위한 무브 원칙, 무브의 응용 쉽게 오르기 위한 무브의 기본 원칙에는 네 가지가 있습니다. 팔은 되도록 쭉 펴야 합니다.철봉에 매달릴 때를 생각해 보았을 때, 팔을 쭉 펴고 매달리면 오래 버틸 수 있으나 팔을 구부리면 금세 떨어지고 맙니다.마찬가지로 처음 시작하는 사람은 홀드를 잡자마자 팔을 구부리고 무릎을 펴는 경우가 많은데, 클라이밍의 기본자세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홀드를 잡았으면 무조건 무릎은 구부리고 자세를 낮춥니다. 그리고 팔은 쭉 펴서 매달려야 합니다. 품을 띄우고 발을 옮겨야 합니다.품이란 가슴 및 허리와 벽의 간격을 말합니다.초보는 손을 다음 홀드로 이동시키는 데 급급해 몸이 일자로 펴진 상태를 유지하기가 쉽습니다.그렇게 되면 어느 순간 발을 둘 곳이 없어져 완력의 한계에 도달하고 맙니다.그러므로 손을 옮기기 전에.. 2025. 2. 19.
인사이드 스텝과 아웃사이드 스텝 한쪽 손을 떼었을 때 나머지 손과 두 발이 삼각형을 이루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자세입니다.이 자세는 3지점 이론입니다.구체적으로는 왼손 아래쪽 두 발이 좌우로 균등하게 위치하여 이등변 삼각형을 이루는 것이 이상적입니다.이 자세는 몸이 확실히 고정은 되지만 오른손이 닿는 범위는 상당히 안정됩니다.비슷한 높이의 발 홀드 두 개를 찾아 발을 디딜 수 있는 경우는 실제로 거의 없습니다.생각처럼 안정된 삼각형 자세를 만드는 것은 어렵습니다.볼더링에서는 일일이 안정된 자세를 취할 여유가 없을 때가 많습니다.한쪽 발을 높이 올려야만 위로 올라갈 수 있고, 발 홀드가 하나밖에 없을 때는 한 발만 디뎌야 하기 때문입니다.인사이드 스텝으로 오를 때는 홀드를 잡으려는 손과 같은 쪽의 발을 높여야 합니다. 오른손으로 홀드를 .. 2025. 2. 18.
무브는 볼더링의 기술입니다. 2025. 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