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을 쓰지 않고도 몸을 고정할 수 있는 무브 중 하나는 드롭 니입니다.
핸드홀드를 잡기 어려운 쪽의 발을 안쪽으로 비틀어 몸을 고정시키면 됩니다.
몸이 고정이 되기 때문에 힘이 없어도 손을 뻗기 쉽고 힘도 절약이 됩니다.
드롭 니는 홀드가 튀어나와 있는 클라이밍 센터에서 특히 자주 쓰이는 기술입니다.
반대로 야외 암벽에서는 그다지 쓰이지 않습니다.
무릎에 상당한 부담을 주는 동작으로써 너무 의존하지 말고 꼭 필요할 때만 쓰면 좋습니다.
얕은 드롭 니는 드롭 니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으며 트위스트의 현실적 형태로 볼 수도 있습니다.
능숙한 클라이머들은 이 무브를 자연스럽게 자주 씁니다.
아웃사이드 스텝으로 오르면서 홀드를 잡을 때 발과 몸통을 가볍게 비트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이 역시 팔 뿐만 아니라 다리와 등의 힘을 함께 쓰면서 등반을 좀 더 수월하게 만듭니다.
타이밍이 중요한 동작이므로 처음에는 느린 동작으로 요령을 습득하면 좋습니다.
오버행에서 좌우 마주 보는 사이드 풀을 붙잡고 있다가 한 손이 떨어지면 몸은 회전하고 추락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방지하는 데에는 힐 훅이 효과적입니다.
힐 훅은 손 대신 발로 홀드를 붙잡아 몸이 바깥쪽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손의 역할을 해야 하므로 발을 약간 높은 위치에 두고 홀드를 잡은 손과 간격을 함께 당기는 힘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발과 무릎을 벽에 최대한 붙이고 옆쪽에서 훅을 거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무릎을 최대한 구부려야 손과 함께 당기는 힘이 강해집니다.
루트의 출구, 급경사의 오버행에서는 힐 훅에 체중의 절반만 분산시켜도 무브가 한결 편해집니다.
힐에 발과 엉덩이 등 하반신의 무게를 싣는 것이 중요합니다.
힐 훅을 건 뒤에는 발꿈치를 홀드에 강하게 누릅니다. 그리고 충분한 압력을 준 뒤에 신발 뒤꿈치의 마찰력을 최대한 활용해야만 무브를 원활하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초급자는 대부분 발꿈치가 걸린 상태에서 발을 당기거나 비틀려고 하는데 그렇게 되면 발꿈치가 신발 속에서 틀어지고 훅이 풀립니다.
힐 훅이 제대로 걸렸다면 다음 홀드를 잡기 위해서 몸을 끌어올려야 하고 무게 중심을 위로 이동시켜야 합니다.
허벅지 안쪽, 무릎 안쪽, 장딴지 근육을 사용해 엉덩이를 훅이 걸린 발꿈치 쪽으로 최대한 당겨야 합니다.
무릎은 완전히 구부리고 발끝이 앞을 보도록 합니다.
토 훅은 말 그대로 발가락 윗부분을 홀드에 갖다 대는 것입니다.
무브 자체의 명칭이지만 토 훅이 필요한 무브의 총칭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발끝 부분을 거는 토 훅과 발등의 넓은 면적을 거는 발등 훅은 서로 다른 기술입니다.
둘을 혼동해 쓰기도 하지만 나누어 해설하는 것이 이해와 훈련에 도움이 됩니다.
토 훅은 몸의 흔들림을 잡는 데 특히 효과적입니다. 칸테나 볼륨 홀드 뒤쪽의 홀드, 멀어서 힐 훅이 닿지 않는 홀드에는 토 훅을 쓰면 좋습니다.
토 훅에서는 신발 안에서 발가락을 꺾어 올리듯 걸리는 부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훅이 걸리는 위치는 엄지발가락과 검지 발가락 사이의 뿌리 부분입니다.
이곳이 중심에 오게 하면 훅을 조정하기 쉽습니다.
발가락이 아래쪽을 향해 있는 다운 토 신발이나 발에 비해 너무 신발을 작게 신으면 발가락이 젖혀지지 않아 토 훅을 걸 수가 없습니다.
큰 슬로퍼 홀드와 볼륨 홀드, 칸테 안쪽 벽면의 홀드에 훅을 걸고 싶으면 발등 부분까지 넓게 활용해야 합니다.
단, 발등까지 쓰면 토 훅보다 무게가 더 많이 실려 풀었을 때 몸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평에 가까운 벽에 매달려 있으면서 고드럼처럼 생긴 홀드를 좌우 발 사이에 끼워 버티거나 루프의 출구 쪽으로 발을 먼저 보내 몸을 당길 때에는 이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이렇게 양발을 동시에 써서 밀고 당기는 힘으로 버티는 기술을 더블 토 훅이라고 합니다.
손이 미끄러지는 슬로퍼 홀드를 누르거나 그 위에 두 손을 합치고 싶을 때도 한쪽 발로 아래쪽 홀드에 훅을 걸고 손으로 밀어 발등으로는 끌어당기는 반대 방향의 힘을 이용하면 버티기 쉽습니다.
토 훅이나 발등 훅을 무릎을 쭉 펴서 거는 사람이 많으나 가까운 곳의 홀드라면 무릎을 구부려 복근을 이용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허벅지를 강하게 끌어당길수록 더 강한 힘을 받으니 도전하면 좋습니다.
토 훅은 발가락을 꺾어 올려 당기듯 걸어야 효과가 있어 이때 정강이 앞쪽의 근육을 씁니다.
평소에 잘 쓰지 않는 근육이라 힘들어하는 사람도 종종 있습니다.
주전자나 높이가 1미터가 되는 박스 밑에 발등을 집어넣어 발로 들어 올리는 연습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손은 주전자와 박스가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발끝을 제대로 꺾어 올리지 않으면 물건은 금세 떨어질 것입니다.
이 훈련은 무거운 물건을 들 때나 토 훅을 걸 때나 똑같은 근육이 쓰인다는 것을 알게 해줍니다.
순간의 무중력 상태를 이용해 다음 홀드를 재빨리 잡는 기술을 데드 포인트라고 합니다.
물체를 위로 던지면 제일 높은 곳이면서 물체가 잠시 정지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몸을 확 끌어당겨 중력과 힘이 균형을 이루는 순간을 이용해 재빨리 홀드를 잡는 기술을 데드포인트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상급자의 전유물이었으나 지금은 볼더링에 없어서는 안 되는 기술입니다.
데드 포인트, 다이노의 다른 점은 다이노에서는 발로 강하게 차며 위로 뛰어오르는 것에 비해서 데드 포인트는 뛰지 않으면서 동작 중에 잠시 무중력이 되는 순간을 이용해 홀드를 잡는 것입니다.
가능하면 양발로 발 홀드를 디딘 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한쪽 발은 발 홀드를 디뎌야 합니다.
데드 포인트에 실패하는 사람은 양손으로 잡아당겨 몸이 정점에 달한 다음에 중심이 추락하기 시작한 다음에 손을 놓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정점에 도달하기 직전 손을 놓고 재빠르게 다음 홀드를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이핑의 효과와 감는 방법 (0) | 2025.02.22 |
---|---|
다양한 동작으로 클라이밍 하기, 테이핑 방법 (0) | 2025.02.21 |
쉽게 오르기 위한 무브 원칙, 무브의 응용 (0) | 2025.02.19 |
인사이드 스텝과 아웃사이드 스텝 (0) | 2025.02.18 |
무브는 볼더링의 기술입니다.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