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99 손 바꿔 잡기의 심화 그리고 크로스 동작 바꿔 잡기 바꿔 잡기에는 손을 일자로 겹쳐 잡는 방법과 세로 방향으로 바꿔 잡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 다른 잡기 방법에는 최초의 손으로 홀드의 양 사이드를 손 사이에 까우듯 잡는 것이 있습니다. 이때의 손 모양이 컵 모양의 핀치 그립이 됩니다. 오는 손으로 홀드의 윗면을 잡고 처음 손을 빼면 바꿔 잡기가 완성됩니다. 이러한 바꿔 잡기 방법은 홀드가 두께가 있으며 좁을 때 사용합니다. 처음에 잡은 손이 홀드를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으로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지, 다음 손이 홀드의 좋은 곳을 잡을 수 있는지 없는지 아는 것이 성패의 요인입니다. 처음에 잡은 손이 위쪽을 잡으면 다음 손을 컵 모양으로 끼워 넣을 수 없어 순서를 반대로 할 수 없습니다. 바꿔 잡는 방법은 볼록한 형태의 코너로 된 부분에서 세로 형.. 2025. 3. 31. 클라이밍 동작에도 순서가 있을까? 클라이밍 동작의 순서는 좌우 교대, 보내기, 바꿔 잡기, 크로스 4개로 진행됩니다. 아주 긴 루트로도 이 조합이면 오르는 데 문제는 없습니다. 클라이밍은 홀드를 잡아 올라가는데 이때 좌우의 손을 번갈아 뻗어 나가는 것이 항상 효율적이지만은 않습니다. 손을 움직이는 방법은 4개가 있는데 발을 움직이는 방법 역시 4개입니다. 그러므로 하나의 루트를 올라갈 때도 손발을 움직이는 순서 조합은 많습니다. 손동작 순서 그리고 발동작 순서를 어떻게 조합할지도 생각해야 합니다. 클라이밍의 순서 종류는 무수히 많습니다. 좋은 클라이밍은 여러 조합 중에서 상황에 가장 잘 맞는 답을 찾아가는 것입니다. 좌우 교대 클라이밍의 기본적인 순서는 손을 좌우로 번갈아 가며 뻗는 것입니다. 클라이머는 벽의 경사가 완만하고 홀드가 큰.. 2025. 3. 30. 사이퍼, 역사이퍼, 캠퍼스 런지는 무엇일까? 사이퍼 홀드를 잡고 있는 손과 홀드를 밟고 있는 발이 같은 쪽이고 다음 홀드가 멀리 있을 때 사용합니다. 처음에 아웃사이드 플래깅을 한 뒤에 한쪽 허리를 약간 깊게 가라앉힙니다. 양손으로 홀드를 당기며 플래깅을 하는 발을 진행 방향으로 휘둘러 올리는 느낌으로 추진력을 주고 위쪽으로 올라가는 요소로 만듭니다. 디딤발의 다리 힘을 끝까지 이용해 나아간 다음에 마지막으로 한 손을 뻗어 홀드를 잡습니다. 이러한 동작들을 연속 무브로 수행하면 이동 거리를 부드럽게 만듭니다. 사이퍼는 플래깅을 하는 발을 휘두르며 올리는 동작을 추진력 삼아 다음 홀드를 잡으러 가는 동적 무브입니다. 이 무브의 추진력은 양손을 당기는 것과 디딤발을 뻗는 것에 달렸으며 가장 중요한 요소는 플래깅하고 있는 발을 스윙할 때 생기는 에너지.. 2025. 3. 29. 클라이밍에서 다이내믹한 움직임에는 무엇이 있을까? 수직 뛰기에서 사람이 위쪽으로 뛸 수 있는 이유는 체중 이상의 힘이 아래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체중의 3배 이상의 힘을 바닥에 가하고 있는 것이 됩니다. 점프에서는 뛰어오를 때의 속도가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결정짓습니다. 팔을 흔들거나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을 빠른 속도로 수행했다고 해서 무조건 높게 뛸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근육은 늦게 수축할 때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의 패턴은 몸무게를 최대한 밀어 올리기 위한 근육의 특성과 맞춰 줘야 합니다. 팔로 당기는 타이밍과 발로 발 홀드를 미는 반력이 최대일 때 맞춰서 뛰어올라야 합니다. 실제로 여러 번 런지를 할 때 스윙 속도를 시험해 보며 가장 좋은 타이밍을 알아내야 합니다. 수직 뛰기를 할 .. 2025. 3. 28. 런지의 여러가지 방법은 무엇일까? 숏 런지 애매하게 멀리 있는 홀드는 반동 없는 런지로 가면 됩니다. 정적으로 끌어당겨서는 닿지 않을 정도 거리에 있는 어려운 홀드를 잡아야 할 때 런지를 하면 홀드에 도달하기는 하나 홀드를 잡을 수 없는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사용합니다. 이 동작은 손이 홀드에 부드럽게 착륙하듯이 가능한 한 가장 낮은 높이로 뛰면 좋습니다. 이때 무릎을 내려 하는 큰 반동 뛰기가 아닌 몸 한쪽으로 벽 쪽으로 끌어당겨 가능한 한 가까운 거리에서 런지를 합니다. 홀드를 잡는 손의 반대 손은 가능한 한 흔들리지 않게 합니다. 홀드를 잡은 순간의 반동을 최소한으로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일반적인 런지는 타이밍을 맞추며 반동을 크게 만들고 뛰지만 홀드를 잡은 양손을 끝까지 당기고 거리를 좁힌 다음에 런지를 하거나 반동 없이 뛰는.. 2025. 3. 27. 클라이밍에서의 동적 무브 클라이밍에서 동적 무브는 많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클라이밍에서 효율적으로 힘을 발휘하는 방법에는 기술적인 움직임으로 동작을 길게 하며 작은 힘을 사용하는 방법, 동작을 강하고 짧게 하면서 강한 반동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움직임들은 적용 장소에 따라 적합한 동작을 선택하면 되지만 기술적으로는 양쪽을 다 익힐 필요는 없습니다. 다이내믹한 무브는 움직이는 그 순간만 주목받기 마련인데 그러한 퍼포먼스가 나오기 전에 준비 동작이 다 있습니다. 준비를 위한 움직임들이 정확하고 잘 연계되어야 먼 거리를 다이내믹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다이내믹한 움직임을 만드는 요소 다이내믹한 움직임을 하기 전에는 반드시 반동을 만들어야 합니다. 수직 뛰어오르기에서는 서 있는 상태에서 바로 점핑을 하게 되었을 때 무릎을 .. 2025. 3. 26. 이전 1 2 3 4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