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클라이밍에서 다이내믹한 움직임에는 무엇이 있을까?

by Autumn Kim 2025. 3. 28.
반응형

이미지 출처 : pexel

수직 뛰기에서 사람이 위쪽으로 뛸 수 있는 이유는 체중 이상의 힘이 아래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체중의 3배 이상의 힘을 바닥에 가하고 있는 것이 됩니다. 점프에서는 뛰어오를 때의 속도가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결정짓습니다. 팔을 흔들거나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을 빠른 속도로 수행했다고 해서 무조건 높게 뛸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근육은 늦게 수축할 때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의 패턴은 몸무게를 최대한 밀어 올리기 위한 근육의 특성과 맞춰 줘야 합니다. 팔로 당기는 타이밍과 발로 발 홀드를 미는 반력이 최대일 때 맞춰서 뛰어올라야 합니다. 실제로 여러 번 런지를 할 때 스윙 속도를 시험해 보며 가장 좋은 타이밍을 알아내야 합니다. 수직 뛰기를 할 때 다리의 근력이 하는 일 중에 약 40%는 힘줄의 탄성에 의한 것입니다. 시험 삼아 한번 웅크린 자세에서 의식적으로 무릎을 빠르게 펴더라도 점프할 수 있을 정도의 속도는 되지 않습니다. 발목을 빠르게 바닥 쪽으로 굽히더라도 속도는 한계가 있습니다. 몸 전체의 반동 동작을 사용해 수직 뛰기를 했을 때 높게 뛸 수 있는 것은 몸을 흔들며 작용, 반작용이라는 물리적 요소와 힘줄의 탄성에 의한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런지에서 스윙 같은 반동 동작이 없이 갑자기 뛰어오르는 것보다는 여러 번의 반동 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작을 인식하면 뛰어오르는 각도나 스피드를 의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강한 근력을 발휘할 수 있게 집중력을 높이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데드 포인트

 

양손을 뗄 수 없을 때는 잠시 무중력 상태를 만들어 줍니다. 

양손으로 잡고 있는 홀드가 매우 작거나 잡고 있기 어려운 홀드에서 한 손을 떼고 다음 홀드를 잡으러 갈 수 없을 때 사용합니다. 양손을 이용해 몸을 벽 쪽으로 빠르게 끌어당겨 손의 체중을 느끼지 못하게 된 순간에 바로 다음 홀드를 잡으러 갑니다. 홀드를 잡았다면 몸이 벽과 멀어지는 반동에 버틸 수 있도록 집중합니다. 무브를 시작하기 전에 동작을 잘 수행할 수 있는 발 홀드에 발을 올리는 것도 중요합니다. 양손을 이용해 몸을 벽 쪽으로 당기면 체중에 대한 손의 부담이 약해져 무중력 상태가 됩니다. 그 찰나의 순간에 손을 뻗어 다음 홀드를 잡습니다. 

타이밍이 엇나가 손을 너무 빨리 뻗으면 뻗는 거리가 부족하기도 합니다. 늦게 뻗으면 몸이 뒤로 젖혀질 수 있어 홀드를 잡는 순간에 손에 너무 많은 부하가 걸리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적절한 타이밍에 무브를 수행해야 합니다. 잡은 홀드를 연달아 부드럽게 쥐는 듯한 타이밍이 최적입니다. 이때는 양손으로 홀드를 끌어당기는 것에만 의지하지 않고 상체의 움직임을 이용해야 합니다.

 

런지

 

홀드 사이의 거리가 멀거나 경사가 심해 보통의 정적 끌어당기기로는 이동 거리를 제대로 만들기 힘들기 때문에 점프를 해서 한 손 또는 양손으로 다음 홀드를 잡는 무브를 수행하여 이동합니다. 양손으로 홀드를 잡고 팔을 홀드에 올린 뒤 허리를 내려 타이밍을 잽니다. 그리고 여러 번 스윙을 하며 반동을 실은 뒤에 목표 홀드로 뜁니다. 추진력은 다리의 힘과 팔로 끌어당기는 힘을 통해 얻습니다. 런지의 중요한 요소는 몸을 스윙하며 손과 발의 반동에 의한 힘을 이용한다는 것입니다. 발은 가장 강력한 추진력이나 뛰어오르는 방향을 컨트롤해야 합니다. 손은 끌어당기는 방향과 뛰어오르는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 몸이 일정한 높이까지 올라갔다면 홀드를 잡으러 가는 손의 반대 손은 마지막까지 계속 밀어주어야 합니다. 가속도의 법칙 때문에 일단 움직이기 시작한 몸은 몸을 밀어주는 손에 힘을 가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비거리를 더 길게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 손은 최종적으로 흔들림을 막기도 합니다. 

 

먼 거리의 런지는 다이내믹한 양손 런지로 대응

 

먼 거리의 런지는 손과 발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몸 전체의 협응을 이용한 동작입니다. 그러므로 처음에는 가까운 거리의 런지를 시도하며 서서히 먼 거리에 대한 움직임을 연습해 나가야 합니다. 양손 런지는 추락했을 경우 낙법을 취하기 힘든 무브이므로 떨어지는 자세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