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레이백, 니바, 사이드 푸시의 동작 방법

by Autumn Kim 2025. 3. 25.
반응형

이미지 출처 : pexel

레이백

 

손으로 홀드를 당기고 발은 발 홀드에 밀어서 버티는 무브를 레이백이라고 합니다. 세로 방향으로 늘어선 홀드를 올라갈 때 사용하는데, 세로로 된 홀드를 당기고 발 홀드를 발로 밀어서 버티는 움직임을 좌우로 반복하며 올라가는데 자세가 무너질 수 있어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직 벽부터 완만한 오버행까지 가능하고 홀드가 세로 방향으로 늘어선 곳 혹은 발로 밀고 손으로 당길만한 크기의 홀드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 코너의 테두리, 크기, 수직으로 된 형태의 홀드 등이 있을 때입니다. 양손으로 세로 모양 홀드를 당기며 양발로 홀드를 밀면서 벽을 따라 올라가는 자세로 손발을 번갈아 옮기며 올라갑니다. 발을 높은 위치에 올리면 자세는 안정이 됩니다. 손에 부담이 가해지므로 빨리 지치게 되는데 밸런스와 등반 속도를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 손은 엄지가 아래 방향으로 가게 하고, 다른 한 손은 위로 가게 만들어 오릅니다. 손을 교차하는 크로스를 사용하면 빨리 오를 수 있으나 같은 손을 반복해 먼저 진행하는 보내기 무브로 하는 것이 밸런스가 더 좋은 상태를 만듭니다. 엄지손가락 사이에 홀드를 끼워 잡으면 몸의 회전을 막는 요소가 됩니다. 발은 한쪽은 아웃사이드, 다른 한쪽은 아웃사이드로 밟습니다. 이쪽도 보내기 무브로 번갈아 보내는 방법 그리고 크로스로 거리를 버는 방법이 있습니다. 발을 높은 위치에 올리면 무게 중심이 홀드를 잡은 곳에서 떨어지므로 밸런스를 잡기 쉬우나 손에 가해지는 부담이 증가해 피로해집니다. 몸의 측면이 벽에 붙을 정도로 만들면 밸런스는 좋아지나 손으로 강하게 당기고 발로 강하게 밀면 빨리 피로해집니다. 세로 방향에서의 밸런스에 대한 쉬운 예시가 있습니다. 블록 쌓기 놀이에 쓰는 나무 블록에 쇠로 된 고리를 달고 세로로 세워진 봉에 통과를 시킵니다. 나무 블록이 그대로 떨어져 있는 것도 있으나 무게 중심이 봉에서 멀고 윗부분은 당기는 힘이 아랫부분은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므로 안정이 되는 나무 블록도 있습니다. 레이백의 밸런스도 홀드를 잡은 상태에서 무게 중심이 멀어질수록 지레 효과가 강하게 작용하므로 안정이 됩니다. 홀드를 잡고 있는 지점에서 좌우의 손발이 수직 선장에 모여 있어 홀드를 잡고 있는 곳이 회전축이 되어 몸이 회전하기 쉬운 상태입니다. 물체의 회전 운동의 성격을 통해 회전을 막는 움직임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레이백은 손발이 붉은 점선의 선상에 모여 있으므로 밸런스가 무너져 벽과 반대로 회전하기 쉽습니다. 손발 부분을 축으로 한 진자 운동과 같은데 진자는 현의 길이가 짧을수록 그 주기가 짧습니다. 피겨 스케이팅에서 회전을 할 떄 그리고 팔이나 다리를 움츠리면 빨리 도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팔을 움츠린 형태의 레이백과 뻗은 형태의 레이백은 밸런스가 무너지는 시간이 다릅니다. 레이백은 가로로 향해 있어 회전 스피드는 더 늦으나 속도의 변화가 없으면 팔을 뻗었을 때 천천히 회전하므로 자세를 제어하기 쉽습니다. 

손발을 뻗으면 가로로 도는 회전 스피드가 떨어져 밸런스 컨트롤이 쉽습니다. 또한 무게 중심이 회전축과 멀어져 세로축의 모멘텀이 커져 손에 강하게 당기는 힘이 생기고 발에 강하게 밀어내는 힘이 가해져 근력을 사용하지 않아도 홀드를 잡는 힘이 커집니다.

 

니바

 

발을 홀드에 올렸을 때 무릎 쪽에도 큰 홀드가 있거나 아래를 향한 턱이 있는 곳에서 사용합니다. 위아래의 홀드 사이에 정강이를 중심으로 무릎부터 발을 넣으면서 지지대처럼 반력을 얻습니다. 발목의 각도로 길이를 조절해 압력이 적당히 가해지도록 합니다. 무릎을 이용해 위에 있는 홀드를, 발을 이용해 아래에 있는 홀드를 밀듯 짝힘 효과를 줍니다. 발목을 아래로 미는 근육은 강한 힘이므로 성립 조건만 맞으면 손을 사용하지 않는 레스트 자세도 가능합니다.

 

사이드 푸시

 

세로 방향으로 된 손 홀드에 대해 발 홀드도 세로 위치에 있으며 온몸으로 대고 버틸 수 있습니다. 몸 전체를 이용해 홀드에 대고 버티게 되는데 손과 발은 서로 대각이어야 안정이 됩니다. 또한, 평행인 상황에서도 가능합니다. 무브 중에서는 홀드에 대고 버티는 거리가 가장 먼 무브입니다. 기본적으로는 팔을 끝까지 뻗은 다음 무릎의 각도를 통해 버티는 힘을 조절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