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틀링 심화
맨틀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게중심을 얼마나 빠른 속도로 양손을 이은 선에서 위로 올리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몸은 그 선보다 올라가면 안정이 되는데 그러므로 움직이기 위해 시작할 때의 빠른 속도를 이용해 한 번에 밀어 올립니다. 양손이 대고 버티는 각에 따라 손에 가해지는 부하는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대고 버티는 각도를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한 양손의 간격을 좁게 만듭니다. 한 손으로 대고 버티며 밀어 오릴 경우에는 가능한 한 몸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떠받치고 있는 가슴과 가까운 위치로 가져옵니다. 가로 방향으로 버티는 상황에서 먼 거리를 가고 싶을 때는 어깨를 밀어 넣고 팔을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며 고정합니다. 재빠르게 올라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손과 손 또는 손과 발의 라인보다 몸을 재빨리 올려야 하는데 양손으로 대고 버티는 것은 될 수 있는 한 간격을 좁게 합니다. 한 손으로 대고 버티는 것은 몸을 손 쪽과 가깝게 하면 손이 부담이 줄고 발에 체중이 실리게 합니다. 밀어 올리는 무브의 기본은 빠른 움직임입니다. 맨틀링에서는 끌어당기는 근육 그리고 밀어 올리는 근육을 도중에 바꾸므로 그 바뀌는 부분이 불안정할 때입니다. 역도에서는 가슴에서 끌어당기기가 밀어 올리기로 바뀝니다. 클라이밍도 이와 같아 약점 구간에서는 빠른 움직임의 관성력을 이용해 대처합니다. 맨틀링을 사용하는 무브 중에 어떤 동작은 끌어당기기에서 밀어 올리기까지 긴 거리를 움직입니다. 처음에는 몸을 끌어 올리기 위한 근육을 사용하는데 이 근육의 사용 범위는 주로 양손을 위로 뻗은 곳에서 어깨까지입니다. 밀어 올리기로 바뀌는 위치에서 밀어 올리기를 하기 위해 위팔뼈 뒤쪽의 상완 삼두근을 사용합니다. 근육은 수축의 범위 가운데 지점에서 100%의 힘이 나옵니다. 처음과 끝은 50% 정도만 발휘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턱걸이에서는 발돋움을 이용하며 광배근과 대원근의 힘으로 올라갑니다. 끌어올리기 두 번째에서는 50%의 힘만 나오지만 관성력으로 몸이 올라가게 됩니다. 밀어 올리는 동작에서는 근육으로 변환이 됩니다. 이때는 관성력도 없어지고 밀어 올리는 근육도 50%만 나오므로 가장 힘듭니다. 맨틀링에서 팔을 젖히는 부분도 이 부분이므로 힘이 듭니다. 밀어 올리는 동작에서는 힘이 들어가기가 쉬워집니다. 그리고 가장 위에서는 팔꿈치를 고정시키므로 자세를 유지하기 쉽습니다.
오퍼지션
작용, 반작용의 힘은 무브 전체에서부터 손, 발 내부에서의 사용 같은 세부적인 것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됩니다. 이를 잘 이용하면 강한 유지력 그리고 추진력을 얻을 수 있어 클라이밍 실력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작용과 반작용의 움직임은 정적인 무브와 동적인 무브로 나뉩니다. 발을 앞뒤로 나눠 밟으면서 발을 통한 지지력을 얻는 드롭니나 발을 벽의 좌우에 대면서 지지력을 얻는 스테밍은 정적인 요소의 작용과 반작용입니다. 반면에 무릎을 밑으로 회전시킨 반동을 이용해 팔을 위쪽으로 올리거나 오른팔을 당기며 왼팔을 뻗는 허리의 회전 운동은 동적인 요소의 작용과 반작용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동적인 무브와 정적인 무브의 조합을 통해서 효율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드롭니는 여러 가지 작용과 반작용 요소를 이용한 효율적인 무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작용과 반작용은 완전히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같은 크기의 힘입니다. 오퍼지션 무브에서 충분한 지지력을 얻으려면 강하게 작용시켜야 합니다. 강하게 작용을 시키면 강한 반작용이 생깁니다. 공을 벽에 강하게 던지면 강하게 튄 뒤에 돌아옵니다. 지지대 형식으로 된 수건걸이에 무거운 무언가를 걸기 위해서는 지지대를 벽 쪽으로 강하게 밀어야 합니다. 즉 강한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강하게 미는 것이 중요합니다. 벽에 다리를 대고 버티는 스테밍은 다리를 대고 버티는 힘이 약하면 몸이 내려갑니다. 힘이 강하게 작용시키려면 다리 힘이 잘 들어갈 위치를 잘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강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발을 잘 사용해야 합니다. 홀드끼리의 위치도 잘 파악해야 합니다. 오퍼지션은 손이나 발을 반대 방향에다 대고 버틸 수 있는 위치에서 사용이 가능한데, 그런 장소를 찾을 수 있는 눈을 기르는 것도 중요합니다.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백, 니바, 사이드 푸시의 동작 방법 (0) | 2025.03.25 |
---|---|
드롭니의 원리와 방법은 무엇일까? (0) | 2025.03.24 |
하이스텝과 맨틀링은 어떻게 하는 걸까요? (0) | 2025.03.22 |
클라이밍에서 훅과 올라타기란? (0) | 2025.03.21 |
아웃사이드 플래깅의 활용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