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밍을 할 때 다리의 힘이 바닥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훅을 사용할 수 있을 때는 훅을 사용해야 합니다. 카운터 밸런스는 다음 홀드를 잡으러 갈 때 몸의 회전을 막기 위한 테크닉입니다. 밸런스가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해 발 홀드를 기준으로 좌우 무게를 균등히 만들어 홀드를 잡고 있는 손에서 발생하는 회전을 최소로 만들기 위한 무브입니다. 손에서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를 최소로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훅킹으로서 훅킹을 사용해 회전 모멘트를 컨트롤하는 방법을 터득해야 합니다.
훅의 장점
다리의 힘으로 몸의 회전을 멈출 수 있습니다. 훅은 회전축으로서 먼 곳에서 회전력을 멈추는 무브이므로 회전을 막는 데 큰 효과가 있습니다. 클라이밍에서는 몸의 회전을 멈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클라이밍에서는 몸이 회전하는 것이 불안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그러므로 카운터 밸런스에서는 받침점이 되는 발을 기준으로 좌우의 밸런스를 균등히 만드는 행동으로서 체중을 동일하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른쪽 무게가 무거워서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힘이 발생한다면 왼손은 그 힘을 억제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카운터 밸런스는 시소와 같은 밸런스입니다.
훅은 손과 발이라는 두 개의 받침점에 중량이 실린 상태입니다. 강의 양쪽에 놓인 다리와 같은 구조이므로 몸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저 체중만 부담하면 됩니다. 하중을 나누지 않고 부담을 발 쪽으로 주면 더욱더 효과적입니다. 훅의 두 가지 큰 장점은 신체 중에서도 큰 근육을 사용하는 것, 다리의 힘을 사용하는 무브에서는 유일하게 무게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서 끌어당긴다는 것입니다. 근력은 근육의 단면적에 비례해 커집니다. 훅에서 사용하는 근육은 허벅지 뒷부분의 햄스트링과 정강이 뒷부분의 장딴지근입니다. 이러한 근육들은 몸의 근육 중에서도 큽니다. 몸을 끌어 올리기에 충분한 힘도 갖고 있습니다. 발을 이용하는 훅은 홀드를 손으로 잡는 것과는 다르게 지치지 않습니다. 훅의 가장 큰 특징은 몸의 무게 중심의 위치보다 위에서 몸을 끌어 올리는 움직임이 있는 것입니다. 전진할 때 혹은 휴식할 때 많은 효과가 있습니다. 훅은 홀드를 손으로 잡을 때처럼 섬세한 그립감을 느끼기는 어렵습니다. 다리를 거는 각도나 당기는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올라타기
클라이밍에서는 무게 중심의 위치가 밸런스를 잡는 열쇠입니다. 카운터 밸런스는 발 홀드를 기준으로 좌우 밸런스를 균등히 만듭니다. 또 하나의 밸런스 무브는 발 홀드에 체중을 싣습니다. 이는 발 홀드에 몸의 무게 중심을 위치시키고 무게 중심을 낮게 유지하면서 밸런스를 좋게 만듭니다. 올라타기 계통의 대표 무브인 하이스텝도 받침점 아래 한 지점 배치형과 같은 원리로 안정이 됩니다. 발을 올려놓은 홀드의 바로 위에 몸의 무게 중심을 위치시키고 한쪽 다리를 낮게 떨어뜨리면 좌우의 밸런스가 같아집니다. 전체적인 무게 중심 위치가 내려가므로 안정되는 구조입니다.
예시로 철봉에 매달리면 몸은 자연스럽게 철봉 바로 아래에 오면서 흔들리지 않습니다. 무게 중심과 받침점이 동일 선상에 있고 가능한 한 낮은 위치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이스텝은 받침점에 무게 중심을 올려 겹치고 그 바로 아래에 발을 늘어뜨리면 몸이 회전하지 않습니다.
발이 먼저 움직이는 무브는 올라타기를 할 때의 깊이와 스피드가 열쇠입니다. 정면으로 벽을 마주하고 발 홀드가 허리보다 높게 있을 때 먼저 발에 무게 중심을 싣고 난 뒤에 다음 홀드를 잡으러 가는 무브가 효과적입니다.
발 홀드가 현재 홀드를 잡고 있는 손과 다음 홀드 사이에서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적용합니다. 높은 계단처럼 발 홀드가 높은 위치에 있고 현재의 위치에서 다음 홀드로 손이 닿지 않으면 그 발 홀드에 발을 올려서 체중을 싣습니다.
왼손으로 홀드를 잡고 전진하는 방향의 오른발 쪽의 높은 위치에 발 홀드가 있으며 오른손으로 다음 홀드를 잡기에 멀면 먼저 오른발로 발 홀드에 올라타고 오른손을 뻗습니다. 받침점 아래 한 지점 배치형 균형 인형을 예시로 받침점에 완전히 무게 중심을 싣고 발을 받침점 아래로 늘어뜨리며 몸이 안정됩니다.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틀링 심화와 오퍼지션 (0) | 2025.03.23 |
---|---|
하이스텝과 맨틀링은 어떻게 하는 걸까요? (0) | 2025.03.22 |
아웃사이드 플래깅의 활용 (0) | 2025.03.20 |
카운터 밸런스의 원리와 안정된 자세 (0) | 2025.03.19 |
플래깅은 언제 적용하면 좋을까?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