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 균등하게 중량을 배분하는 무브를 카운터 밸런스라고 부릅니다. 발 홀드에 올려놓은 발을 중심으로 좌우가 균등한 상태가 되므로 몸이 회전하지 않습니다. 물리적으로는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홀드를 잡고 있는 손이 회전력에 대항할 필요가 없습니다. 발이 부담하고 있는 부하를 제외한 나머지의 부하만 부담하면 좋습니다. 클라이밍에서는 양손과 양발을 번갈아 움직입니다. 도중에는 밸런스가 좋은 상태가 있으며 나쁜 상태도 있습니다. 오버행에서는 왼손과 왼발로 홀드를 잡고 오른손을 다음 홀드로 뻗으려고 할 경우에 몸은 왼쪽으로 크게 돌아갑니다. 손 홀드를 왼손으로 잡았을 때 발 홀드를 오른발로 밟으면 회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쉽게 다음 홀드로 손을 뻗을 수 있습니다. 카운터 밸런스는 좌우 무게를 같게 만들어 홀드를 잡고 있는 손에 가해지는 필요하지 않는 힘을 없애고 기본적으로 오버행에서 가해지는 체중만을 부담하게 하는 것을 이상적으로 봅니다. 홀드를 왼손과 왼발로 잡으면 벽과 접촉한 라인에 대해 무게가 오른쪽으로 치우칩니다. 그러므로 좌우의 밸런스가 나쁘고 왼쪽으로 돌아가는 회전 모멘트가 발생해 몸이 왼쪽으로 회전합니다. 이 회전에 버티려면 왼팔에 힘을 많이 주고 다음 홀드를 잡아야 합니다. 홀드를 왼손, 오른발로 잡으면 벽과 접촉한 라인에 대해 무게가 안정적으로 분배가 됩니다. 그러므로 좌우 밸런스가 안정되어서 회전하지 않고 쉽게 다음 홀드를 잡으러 갈 수 있습니다. 밸런스가 좋아지면 왼손에는 불필요한 부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플래깅은 몸을 안정시키기 위해 반대로 몸무게의 일부를 보낸 상태인 카운터 웨이트를 만들 목적으로 공중으로 내민 다리입니다. 발을 발 홀드에 올려놓지 않으면 발 홀드가 플래깅을 한 발의 주변에 있고 밸런스라 좋으면 홀드에 발을 올려놓습니다. 움직일 때 홀드를 발로 밀면 추진력이 생겨 홀드를 이용하는 것이 좋기도 합니다. 대각은 카운터 밸런스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입니다. 클라이밍에서 사용 횟수가 많은 무브 중 하나로서 왼손으로 홀드를 잡으면 오른발을 발 홀드에 올려야 합니다. 그리고 오른손으로 홀드를 잡았을 때는 왼발을 발 홀드에 놓으면서 대각으로 홀드를 잡는 것으로 좌우 밸런스를 균등하게 만듭니다. 대각에는 발 홀드를 인사이드로 밟는 무브와 아웃사이드로 밟는 두 종류의 무브가 있습니다. 발 홀드가 홀드를 잡은 손보다 다음에 잡을 홀드와 가까운 곳에 있으면 인사이드로 올리고 먼 쪽에 있다면 아웃사이드로 올립니다. 발 홀드가 현재 잡고 있는 홀드 라인의 가까이에 있다면 인사이드와 아웃사이드 중에 어느 쪽이든 사용합니다. 현재 홀드를 잡고 있는 손과 잡아야 할 다음 홀드 사이에 발 홀드가 있을 때 인사이드 대각, 정면 무브를 사용합니다. 수직 벽에서 오버행까지 적용 범위가 넓습니다. 슬랩에서는 대부분 이 무브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수직 벽에서도 종종 사용합니다. 경사가 심한 오버행이나 루프에서 사용하게 되면 다른 무브보다 힘이 더 필요합니다. 왼손으로 홀드를 잡고 오른손을 다음 홀드로 뻗게 되었을 때 현재 홀드를 잡은 왼손보다 오른쪽에 발 홀드가 있으면 왼발은 플래깅을 합니다. 그리고 오른발은 인사이드로 밟아 대각인 상태로 지지합니다. 홀드를 왼손으로 잡을 때는 오른발을 올리고 홀드를 오른손으로 잡을 때는 왼발을 올립니다. 그런 느낌으로 몸을 펴고 대각으로 고정시키며 밸런스를 잡습니다. 밸런스 상태를 유지하며 양손으로 끌어당기고 빠르게 한 손을 뻗어야 합니다. 이때 급하게 다음 홀드로 손을 뻗지 않습니다. 양손으로 확실하게 끝까지 끌어당기고 참을 수 있는 범위까지 온 상태에서 손을 뻗으면 힘 소모가 적고 밸런스는 안정이 됩니다. 카운터 밸런스는 밸런스 상태를 가장 좋게 만들어 이동합니다. 의식은 아무래도 다음 홀드로 향하지만 더 중요하게 의식해야 하는 것은 플래깅을 하면서 증량 배분을 하는 발의 상태입니다. 수직 이상의 경사가 되면 아무래도 겨드랑이가 많이 벌어지고 허리가 벽에서 떨어집니다. 그러면 체중이 발에 실리지 않고 손에 부담이 커집니다. 허리를 확실히 벽에 붙이고 발에 체중을 싣는 것이 중요합니다.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이밍에서 훅과 올라타기란? (0) | 2025.03.21 |
---|---|
아웃사이드 플래깅의 활용 (0) | 2025.03.20 |
플래깅은 언제 적용하면 좋을까? (0) | 2025.03.18 |
클라이밍 무브가 일상 생활에서도 나타날까? (0) | 2025.03.17 |
핸드 재밍 그리고 풋 재밍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