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플래깅은 언제 적용하면 좋을까?

by Autumn Kim 2025. 3. 18.
반응형

이미지 출처 :pexel

오버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무브인 아웃사이드는 인사이드와 발의 방향이 다른 대칭 무브입니다. 현재 홀드를 잡고 있는 손과 나아가려는 다음 홀드의 반대쪽에 발 홀드가 있는 경우에 적용합니다. 수직 벽에서 경사가 심한 벽까지 사용 범위가 넓고 카운터 밸런스 중에서는 플래깅 무브의 대표 동작입니다. 홀드를 왼손으로 잡고 오른손을 다음 홀드로 뻗는다면 현재 홀드를 잡고 있는 왼손보다 발 홀드가 왼쪽에 있을 때 왼발을 플래깅, 오른발을 아웃사이드로 밟아 대각 상태를 지지합니다. 홀드를 왼손으로 잡을 때는 오른발을 올리고 오른손으로 잡을 때는 왼발을 올립니다. 그리고 몸을 접는다는 느낌으로 대각으로 홀드를 잡습니다. 그렇게 밸런스를 유지합니다.

 

대각의 심화

 

도달거리를 늘리는 것의 핵심은 반대쪽 발의 위치입니다. 대각에선 받침점이 되는 발을 중심으로 좌우가 균등히 체중을 분배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그것만으로는 밸런스만 좋아질 뿐이지 다음 홀드로는 제대로 이동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적용을 할 때는 도달거리를 늘리기 위해서 잡으러 가는 홀드 쪽으로 체중을 많이 보냅니다. 다음 홀드를 잡으러 가는 손의 방향으로 체중을 보내기 위한 의식을 한다면 오히려 밸런스는 나빠집니다. 그리고 도달거리는 늘지 않습니다. 카운터 밸런스의 원리에 따라 발을 반대 방향으로 최대한 쭉 뻗게 되면 진행 방향 쪽으로 도달거리를 더 늘립니다. 

오른손을 뻗어야 하는 상황에서 왼손으로 잡고 있는 홀드가 안 좋다면 다음 홀드에 가기 위해 무게 중심을 오른쪽으로 두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양손으로 잡은 채 무게 중심을 받침점의 왼쪽으로 가져가 밸런스를 안정시키고 빠르게 한 번에 오른손을 뻗는 것이 더 안정적입니다.

 

보통 상태일 때의 플래깅

 

평범히 카운터 밸런스를 하면 그저 현재 홀드를 잡고 있는 손 그리고 발 홀드를 밟고 있는 발 사이에서 플래깅을 하는 형태가 됩니다. 다음 홀드에 닿지 않을 때는 홀드를 잡고 있는 손으로만 당깁니다. 

 

허리를 집어넣는 플래깅

 

허리를 확실히 집어넣는 것을 의식하며 다리를 반대 방향으로 플래깅을 한다면 현재 홀드를 잡고 있는 손에 불필요한 힘이 들어가지 않고 다음 홀드의 손을 멀리 뻗을 수 있습니다.

 

인사이드 플래깅

 

오버행에서는 왼손 잡기와 왼발 올려놓기처럼 평행으로 홀드를 잡게 되었을 때 몸이 회전합니다. 이때 발을 안으로 빼서 몸을 크로스 상태로 만들게 된다면 밸런스는 좋아집니다.

현재 홀드를 잡고 있는 손 그리고 다음 홀드의 반대쪽에 발 홀드가 있는 경우에 적용하면 좋습니다. 홀드를 손과 발이 같은 쪽에서 잡고 있는 상태에서 밸런스를 좋게 만들기 위해 대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발을 바꿔 밟아야 합니다. 인사이드 플래깅을 이때 사용하면 발을 바꾸지 않아도 밸런스를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 

왼손 잡기, 왼발 올리기처럼 평행인 상태에서 오른손을 뻗는다면 발 홀드가 현재 홀드를 잡고 있는 왼손보다 좌측에 있을 때 왼발은 인사이드로 밟고 오른발은 몸과 벽 사이로 플래깅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카운터 밸런스 상태를 만듭니다. 

 

홀드를 왼손으로 잡을 때 왼발을 올리고 오른손으로 잡을 때 오른발을 올립니다. 플래깅을 하는 발을 안으로 빼 몸을 크로스 상태 대각으로 만듭니다. 

 

오른발을 올려 둔 대각 상태의 카운터 밸런스의 경우 올려놓은 발은 아웃사이드가 됩니다. 왼발을 올려 둔 인사이드 플래깅과 비교했을 때 다른 무브 이지만 홀드를 잡으러 가는 손의 최대 도달거리는 같게 됩니다. 플래깅을 한 다리의 뻗는 거리도 같습니다. 따라서 대각이든 인사이드 플래깅이든 같은 거리인 것입니다. 실제 클라이밍에서는 발을 바꿀 필요가 없는 무브 쪽을 선택하면 좋습니다.

 

인사이드 플래깅에서는 홀드를 인사이드로 밟고, 아웃사이드에서는 새끼발가락으로 밟습니다. 인사이드에서는 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엄지발가락으로 홀드에 올라타므로 사람의 발 구조상 확실하게 밟고 버팁니다. 대각을 사용해 무브를 취한다면 발을 바꾸는 것이 좋은데 인사이드 플래깅을 사용한다면 바꾸지 않아도 이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발 홀드가 현재 홀드를 잡고 있는 손이 아니라 다음 홀드를 잡으러 가는 쪽에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