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밍 무브는 클라이밍 할 때의 특별한 움직임입니다. 이와 비슷한 동작은 일상에서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예시로 책상 위에 높인 메모지를 뗄 때 메모지의 위치가 책상의 가장자리에서 떨어져 있을 때 자연스럽게 허리를 뒤로 구부리고 상체와 하체의 밸런스를 잡은 다음에 손을 뻗어줍니다. 허리의 위치를 그대로 두면 손을 뻗었을 때 밸런스가 무너지므로 책상에 손을 대지 않으면 손을 뻗기가 힘이 듭니다. 물건이 놓여 있는 장소가 먼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다리를 뒤로 내밀면 됩니다. 이는 클라이밍에서의 카운터 밸런스와 같은 무브입니다. 초보자가 클라이밍에서는 바로 이러한 밸런스 무브를 할 수 없는 이유는 클라이밍이 일상생활과는 다르고 떨어질 우려가 있는 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평소와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숙련된 클라이머는 평소에도 쉽게 카운터 밸런스 무브를 만듭니다. 클라이밍에는 익숙함이라는 요소가 필요합니다. 동작이 반복될 때마다 난이도가 높은 밸런스를 해내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무브는 대표적인 클라이밍 테크닉으로서 물리적인 요소에 따라 무브는 분류가 됩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적용 방법도 다릅니다. 무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응용력을 갖기 위해서는 무브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알아야 합니다. 클라이밍은 홀드를 이용해 기어 올라가는 스포츠입니다. 불필요한 힘을 사용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움직여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어려운 루트를 올라갈 수 있습니다. 사람이 움직일 때는 무게 중심이 이동합니다. 한쪽 다리로 서있을 때 무게 중심이 이동하지 않는다면 안정되겠으나 그런 상태로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습니다. 앞쪽으로 걸을 때는 발을 들어서 무게 중심을 앞으로 이동합니다. 그때는 앞쪽으로 쓰러지듯이 밸런스가 무너지는데 거기서 곧바로 발을 한 발 나아가서 몸을 지탱해 봅니다. 이 움직임을 좌우 번갈아서 연속으로 하는 것이 바로 걷기입니다. 사람의 움직임은 밸런스를 연속으로 무너뜨리면서 이루어집니다. 걷기나 달리기 같은 동작을 반복해서 밸런스가 나쁘다고 느끼지 않는 것입니다. 밸런스가 무너진다는 것은 중력에 의해 몸의 평형이 흐트러지는 것입니다. 클라이밍에서 홀드는 간격도 배치도 그리고 크기도 제각각입니다. 오버행에서는 한 동작마다 뒤쪽으로 젖혀지게 되는 회전력이 생깁니다. 그러나 원래 움직임이란 밸런스가 깨지는 것이고 무브는 그러한 언밸런스한 상태를 보정하는 움직임입니다. 클라이밍을 보다 단순한 동작으로 생각한다면 사다리 오르기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경사가 완만한 사다리는 발힘을 최대한 이용합니다. 손은 발이 힘을 주기 쉬운 방향으로 이끄는 역할을 합니다. 경사가 강한 사다리에서 무게 중심을 한가운데에 두면 몸이 회전하는 요소가 적어지므로 밸런스 상태가 좋고 손의 힘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오를 수도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밸런스를 만드는 것이 클라이밍인데, 오버행일 경우에 밸런스를 좋게 만들어도 손의 부담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가장 좋은 밸런스를 만들었을 경우에 발에 실리는 부하를 제외하고 나머지 체중을 잘 유지한다면 몸의 회전에 저항하기 위해 불필요한 힘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클라이밍은 이 최적의 밸런스 상태를 목표로 합니다. 인간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키를 기준으로 한가운데보다 약간 위입니다. 몸을 지탱하는 팔 위에 머리가 있어 발보다도 팔이 담당하는 부하는 커집니다. 몸의 각도는 경사진 벽에서 팔의 길이만큼 커지고 팔에 하중이 가해지는 요인이 됩니다. 카운터 밸런스는 클라이밍에서 가장 기본적인 무브로서 몸의 밸런스 상태를 최적화하는 무브입니다. 오버행 벽에서는 양발을 발 홀드에 올려 왼손으로 홀드를 잡고 오른손을 뻗어 몸이 왼쪽으로 회전하고 다음 홀드를 잡으러 가는 것이 어렵습니다. 홀드를 왼손으로 잡은 채로 오른발만 홀드에 올리고 왼발을 바깥쪽으로 뻗으면 밸런스가 맞아집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몸이 회전하지 않고 오른손으로 다음 홀드를 잡게 됩니다. 평행하게 잡으면 회전하게 되는데, 오버행에서 왼손 그리고 왼발로 홀드를 잡으면 몸이 회전합니다. 회전하지 않기 위해서는 왼손의 악력으로만 버티려고 하면 많은 힘이 필요해 왼손과 오른발을 같이 사용해 홀드를 제어하고 몸의 좌우 무게를 균등하게 만들면 회전하지 않아 다음 홀드를 편하게 잡을 수 있습니다.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운터 밸런스의 원리와 안정된 자세 (0) | 2025.03.19 |
---|---|
플래깅은 언제 적용하면 좋을까? (0) | 2025.03.18 |
핸드 재밍 그리고 풋 재밍 (0) | 2025.03.16 |
클라이밍에서 풋 워크의 종류 (0) | 2025.03.15 |
클라이밍에서의 훅킹 : 힐훅, 토훅에 대한 정보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