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을 홀드에 걸고 잡아당기는 듯이 하는 훅 무브는 어느정도 체중을 확실히 떠맡아 주므로 손의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클라이밍은 홀드를 끌어당길 수가 없으면 올라갈 수 없고, 손이 홀드를 잡고 있을 수 없으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에 홀드를 잡는 것도 잡아당기는 것도 위에서 아래로 힘을 주는 것입니다. 카운터 밸런스는 최적의 밸런스 상태가 되나, 체중을 끌어당기거나 지탱하려면 손에 부담이 가해집니다. 하이스텝은 몸을 밀어 올리고 드롭니는 체중을 일정량 부담하게 되는데 그러한 움직임들은 손의 부담을 줄이는 보조적인 역할 위주로 합니다. 훅은 위에서 아래쪽으로 끌어당기는 동작이므로 제 3의 손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손은 펌핑이 되지 않습니다. 혹은 손의 부담을 가장 많이 덜 수 있는 요소를 가집니다. 훅이야 말로 최강의 무브이며 그것은 모멘트 제로의 세계입니다. 클라이밍의 무브는 몸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데 훅 무브는 손과 훅이라는 두 받침점을 통해 대응하므로 회전이 생기지 않습니다. 발은 지치지 않아 물리적으로도 운동생리학적으로도 최강의 무브입니다. 몸을 위쪽과 아래쪽 두 받침점을 통해 지탱하면 몸의 모멘트가 생기지 않아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게 됩니다. 힐 훅의 장점은 체중을 끌어올린다는 점입니다. 훅킹 중에서도 발의 힘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힐 훅입니다. 클라이밍의 대부분 무브에서 발은 허리 아래의 위치에서 움직입니다. 그리고 몸을 밀어 올리는 역할도 합니다. 그러나 기울어진 벽에서는 발을 이용해 누르는 것만으로는 몸을 벽에 가깝게 할 수 없어 불가피하게 손으로 홀드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 결과 손이 지치기도 합니다. 힐 훅은 발을 허리보다 위로 올려 그 발을 끌어내림으로써 몸이 올라갑니다. 인간의 무게 중심은 배꼽 주변에 있고 그 무게 중심보다 다리를 위로 올리면서 몸을 끌어 올리는 움직임이 됩니다. 손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데 바꿔 말하면 힐 훅은 제 3의 손입니다. 그러므로 힐 훅은 클라이밍에서 가장 효율적인 무브입니다. 클라이밍에서 일반적으로 무게 중심보다 위에 있는 손은 당기는 움직임을 하며 무게 중심보다 아래에 있는 발은 미는 움직임을 합니다. 따라서 발로 체중을 밀어 올리는 움직임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무게 중심보다 위에 위치한 손이 홀드를 잡지 않으면 몸이 안정적일 수가 없습니다. 오버행 클라이밍은 무게 중심보다 위에 당기는 요소가 없으면 몸이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힐 훅은 몸의 무게 중심보다 위에 발을 올리므로 발이 손과 마찬가지로 몸을 끌어올리게 됩니다. 게다가 몸이 안정이 되어 지치지가 않습니다. 클라이밍에서는 가장 효과적인 무브입니다. 힐 훅은 암벽화의 발뒤꿈치를 발 홀드에 걸어 몸을 들어 올립니다. 다리의 힘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는 힐을 건 발 쪽으로 무게 중심을 가져가야 하고, 허리를 확실히 올려 다음 홀드를 잡아야 합니다. 먼저 손을 뻗으면 허리는 내려가고 손에 부담이 가해집니다. 손으로 당기지 않고 어깨로 올라가면 반작용으로 몸에 회전이 생겨 당기는 손에 당기는 요소가 생기게 됩니다. 힐 훅은 진행 방향에 따라 발뒤꿈치를 거는 위치를 조정하게 됩니다. 상체로 올라갈 때는 바로 아래 혹은 아래의 안쪽 부분을 겁니다. 그리고 몸을 움츠리며 허리에서 틀면서 올라갑니다. 하체로 올라갈 때는 발을 약간 바깥쪽으로 걸어 무릎이 방해가 되지 않게 확실히 올라타게 합니다. 힐 훅을 걸 때 손과 발 바꾸기 무브를 이용할 때가 있는데 이때 손의 바깥쪽에서 거는 경우와 안쪽에서 거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쪽에서 걸어야 무게 중심이 안으로 들어가 안정됩니다. 이것은 몸의 유연성을 필요로 합니다. 작은 홀드에서는 컵 잡기를 이용해서 걸기도 합니다. 토훅은 발끝보다도 발등 부분으로 홀드나 벽을 훅킹하는 것입니다. 발끝을 올리는 근육은 강한 근육이 아니여서 발 전체로 발등을 들어 올린다는 느낌으로 당깁니다. 다리가 꺾여 있으면 홀드를 당기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다리를 뻗어 상체 전체를 쓰러뜨린다는 느낌으로 당겨줍니다. 그러면 훅이 잘 걸립니다. 이 무브는 암벽화의 모양이나 발등의 고무의 범위에 따라 효율성이 좌우됩니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암벽화나 발등의 고무를 잘 선택해야 합니다.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 재밍 그리고 풋 재밍 (0) | 2025.03.16 |
---|---|
클라이밍에서 풋 워크의 종류 (0) | 2025.03.15 |
훅킹과, 발 바꾸는 방법 그리고 재밍 (0) | 2025.03.13 |
홀딩을 보조하는 다양한 방법과 풋 워크의 기본 (0) | 2025.03.11 |
클라이밍에서의 사이드풀, 개스통 그리고 언더클링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