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 훅은 암벽화의 안쪽을 걸어서 당기는 방법으로 코너나 세로 형태의 홀드에 주로 사용합니다. 적극적으로 끌어당기는 것보다는 몸의 밸런스를 잡을 때 사용합니다. 이 훅 워크는 훅을 건 발 단독으로 성립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반대 발은 훅을 건 발과 거리가 가까워야 안정적입니다. 아웃사이드 훅은 강한 오버행에서 벽이나 홀드가 선반 형태로 되어 있다면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하체의 구조상 힐 훅은 허리가 내려가기 쉬운 자세가 되는데 아웃사이드 혹은 몸의 측면으로 비틀며 몸통의 힘을 유지할 수 있어 심한 오버행에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오퍼지션 계통의 훅은 심한 오버행이나 루프에 서 많이 사용하는데 그곳에 있는 홀드는 전체적으로 볼륨이 있어 발로 홀드를 고정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밀어 누르는 풋 워크의 이용 빈도가 높아집니다. 양발의 발끝으로 홀드에 고정하는 풋워크는 발 위치가 가까워야 더 안정적입니다. 발로 고정하고자 하는 홀드는 서로 같은 홀드도 가능하고 다른 홀드도 가능하기는 합니다. 한쪽 발은 발뒤꿈치를, 다른 한쪽은 발등을 사용해 홀드를 고정하는 방법도 있는데 위쪽의 발이 힐이고 아래쪽 발은 발등 부분입니다. 이 풋 워크는 비교적 큰 홀드가 아니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쪽 발은 발등을 다른 한쪽 발은 발바닥을 사용해 작용, 반작용의 힘을 얻습니다. 이 풋 워크는 위치가 다른 홀드 간에 사용이 가능한데 하나의 홀드에서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2개의 홀드 사이의 빈틈에 발을 넣어 지지력을 얻는 방법도 있습니다. 사용할 만한 장소를 찾아내는 것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사용할 수만 있다면 상당히 높은 지지력을 얻기도 합니다. 발을 집어넣은 채로 떨어지면 상체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그래서 고정을 풀 때에 유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클라이밍 도중에 발 바꾸기는 의외로 많이 필요합니다. 일상에서 발을 바꿔 올려놓는 일은 거의 없는데 클라이밍 도중에는 종종 사용합니다. 발을 디딜 곳이 발 홀드라는 한정된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발을 바꾸는 방법은 올려져 있는 발을 옆으로 슬라이드 시키며 다음 발을 미끄러뜨리는 방법이 있고 밟고 있는 발을 빼면서 위에서 다음 발을 떨어뜨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두 번째의 동작을 크게 하게 된다면 그 반동으로 발이 미끄러지고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작은 발 홀드에 대처를 할 수가 없어 위의 발을 아주 가까운 위치까지 간격을 좁혀와 재빨리 밑의 발을 빼내야 합니다. 발을 바꿔 올려놓을 때 발은 같은 장소에 옵니다. 만약에 양손도 같은 위치이거나 가까운 곳에 있을 때 몸이 회전되기가 쉽습니다. 그래서 밸런스가 나빠지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발을 바꿔 올려놓기는 좌우의 손이 될 수 있는 최대한 떨어져 잡고 있는 것이 원칙입니다. 무게 중심의 위치도 중요합니다. 발 바꿔 올려놓기를 할 때는 발이 모여 있습니다. 손으로 잡고 있는 홀드가 안 좋으면 될 수 있는 한 무게 중심을 가운데로 가져와 발에 체중을 실으며 바꿔 올립니다. 힐 훅의 교체 등으로 무게 중심을 중앙으로 가지고 올 수 없는 상태에서 발을 바꾼다면 밸런스가 흐트러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크랙 클라이밍은 손과 발 모두 채워 넣기 즉, 재밍이라는 독특한 기법을 사용합니다. 재밍의 기본은 크랙의 폭에 맞춰 구부려 부풀리고 비틀면서 얻는 반력을 떠받치는 힘으로 삼습니다. 그러므로 같은 크랙이라도 개인의 손발 사이즈에 따라 적용 방법이 다릅니다. 순수한 크랙 클라이밍은 규칙적으로 양쪽의 손과 발을 사용합니다. 양쪽 손발 중 하나가 이동하면 남은 세 점은 체중을 떠받칩니다. 이 무브에서도 기본은 발로 체중을 부담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패턴의 클라이밍보다 손발의 협응이 더 필요합니다. 원래의 크랙 클라이밍은 캠 그리고 너츠를 사용해 확보물을 사용하는 기술도 함께 얻어내는 것이 필요한데 가장 기본적인 재밍 방법부터 아는 것이 좋습니다. 재밍은 지식보다도 경험에 의한 부분이 크므로 재밍을 습득하려면 실전이 중요합니다. 핸드 재밍에서 손바닥 재밍은 손바닥 두께보다 조금 넓은 정도의 크랙에 사용합니다. 이 정도 크랙이 가장 기본적입니다.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이밍에서 풋 워크의 종류 (0) | 2025.03.15 |
---|---|
클라이밍에서의 훅킹 : 힐훅, 토훅에 대한 정보 (0) | 2025.03.14 |
홀딩을 보조하는 다양한 방법과 풋 워크의 기본 (0) | 2025.03.11 |
클라이밍에서의 사이드풀, 개스통 그리고 언더클링 (0) | 2025.03.10 |
클라이밍에서의 포켓, 랩 그리고 오버핸드, 사이드풀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