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드 클라이밍에서 펌핑이 되었을 때 팔꿈치가 올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손가락의 힘이 다 떨어져 홀드를 끝까지 잡을 수 없게 되어 미는 힘을 이용하려는 것입니다. 팔꿈치를 들면 광배근으로 홀드를 누르는 힘을 통해 악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무브를 자유롭게 만들어 내기 위해 팔꿈치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많이 사용하기 힘드나 누르는 힘을 이용할 수 있을 때는 홀드를 잡는 힘을 도와주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피겨 4는 가장 기술적인 무브 중 하나로써 잡고 있는 홀드는 괜찮으나 홀드 사이가 멀어서 발 홀드를 이용하기 부족하고 다음 홀드가 런지 같은 다이내믹한 무브로는 잡기 힘들 때 사용합니다. 포켓같은 목표물이 작을 경우 많이 사용합니다. 이 무브는 홀드를 잡고 있는 손에 무릎을 걸어 팔이 발 홀드를 대신하고 손에는 아래로 힘이 걸려 홀드를 잡는 힘이 나옵니다. 허리 부근 정도까지 끌어당기므로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무브지만 한 번 시도하면 걸린 다리를 팔에서 빼기 어려워 상당히 과감한 시도입니다. 무브를 하는 방법은 양손으로 홀드를 잡은 자세에서 잡으러 가는 쪽 발의 무릎을 홀드를 잡은 손의 팔꿈치 부분에 겹쳐 올려놓는 자세를 만듭니다. 이때 허리가 내려가면 충분한 거리가 나오지 않아 주의합니다. 반대쪽 발은 플래깅을 해서 밸런스를 맞춥니다. 하지만 홀드를 잡으러 가는 손으로 다음 홀드를 잡을 때 걸어 둔 다리를 빼야 하므로 잡으러 갈 홀드도 비교적 양호해야 합니다. 손의 부하를 줄이고 발로 체중을 분산시키는 것은 중요합니다. 클라이밍에서 발 사용의 핵심은 홀드에 발을 올리는 방법, 싣는 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클라이밍의 좋고 나쁨은 발에 얼만큼 체중을 실을 수 있냐에 달려 있습니다. 그러므로 강한 다리 힘을 사용할 수 있는 발의 위치는 중요합니다. 손 홀드는 손으로 직접 잡아 가장 잡기 쉬운 부분에 섬세하게 반응합니다. 그에 비해 발 홀드는 암벽화를 신은 상태에서 올려놓으므로 아무래도 감각이 둔합니다. 그러므로 발을 올려 두기 전에 올려 둘 장소를 확실하게 보아야 합니다. 막연하게 다리를 올려놓는 것이 아니라 가장 효율적인 지점을 핀 포인트로 노려 올려놓아야 합니다. 대형 발 홀드일 경우에 가장 유요한 직경 10mm 정도의 한 지점만이 발 홀드이고 나머지는 장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발 기술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발을 쓸어내리듯이 발 홀드에 올려 두는 것입니다. 발은 위에서 그대로 올려놓는 것이 아니라 안쪽에서 회전시키듯 홀드에 둡니다. 그러면 약간이라도 몸의 무게 중심이 벽 쪽으로 옮겨갑니다. 그리고 손에 가해지는 부담도 덜어집니다. 발을 쓸어내리는 것은 홀드의 밀착성을 만들어 내서 발이 쉽게 미끄럽지 않게 합니다. 클라이밍은 다리를 얼마나 잘 사용하는지 손의 힘은 어떻게 빼는지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발은 항상 몸이 벽면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발 홀드를 쓸어내는 형태로 올립니다. 마치 벽 안으로 들어갈 것만 같은 자세가 중요합니다. 엣징은 암벽화를 좁은 엣지 홀드에 올려놓는 기술로서 암벽화가 부드러운 고무라면 모양이 변형되어 홀드에서 떨어지기 쉬워질 수 있으므로 일정한 경도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부드러운 고무 재질로 된 것이 오히려 마찰력이 높을 수도 있어 암벽화의 아웃솔은 이 상반된 요소를 얼마나 적절히 조합할 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엣징이란 작은 홀드, 바위의 돌출 면이나 끝부분에 올릴 때 사용합니다. 엣징으로 올려놓은 발 홀드의 폭이 2cm보다 좁아지면 보다 섬세하게 발을 사용해야 합니다. 암벽화의 아웃솔이 발 홀드의 미세함에 밀리지 않도록 발가락을 모으고 동시에 발뒤꿈치를 드는 느낌으로 만들면 엣징은 더 잘됩니다. 발은 벽 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쓸어내는 움직임을 하므로 몸의 무게 중심이 벽 쪽으로 기울어 발이 쉽게 밀리지가 않습니다. 어려운 엣징은 동전만 한 두께나 화강암 결정체 크기만 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한 번 올려놓은 발을 절대로 움직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므로 올려놓기 전에 처음부터 가장 좋은 위치를 판단해 딛는 것이 필요합니다. 스미어링은 암벽화의 아웃솔을 벽이나 홀드에 강하게 밀어 누르는 힘을 얻는 방법입니다.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이밍에서의 훅킹 : 힐훅, 토훅에 대한 정보 (0) | 2025.03.14 |
---|---|
훅킹과, 발 바꾸는 방법 그리고 재밍 (0) | 2025.03.13 |
클라이밍에서의 사이드풀, 개스통 그리고 언더클링 (0) | 2025.03.10 |
클라이밍에서의 포켓, 랩 그리고 오버핸드, 사이드풀 (0) | 2025.03.09 |
클라이밍에서의 크림프, 파밍 그리고 핀치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