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99

레이백, 니바, 사이드 푸시의 동작 방법 레이백 손으로 홀드를 당기고 발은 발 홀드에 밀어서 버티는 무브를 레이백이라고 합니다. 세로 방향으로 늘어선 홀드를 올라갈 때 사용하는데, 세로로 된 홀드를 당기고 발 홀드를 발로 밀어서 버티는 움직임을 좌우로 반복하며 올라가는데 자세가 무너질 수 있어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직 벽부터 완만한 오버행까지 가능하고 홀드가 세로 방향으로 늘어선 곳 혹은 발로 밀고 손으로 당길만한 크기의 홀드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 코너의 테두리, 크기, 수직으로 된 형태의 홀드 등이 있을 때입니다. 양손으로 세로 모양 홀드를 당기며 양발로 홀드를 밀면서 벽을 따라 올라가는 자세로 손발을 번갈아 옮기며 올라갑니다. 발을 높은 위치에 올리면 자세는 안정이 됩니다. 손에 부담이 가해지므로 빨리 지치게 되는데 밸런스.. 2025. 3. 25.
드롭니의 원리와 방법은 무엇일까? 클라이밍 도중 홀드끼리의 위치에 따라 여러 무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최적의 밸런스를 얻을 수 있는 카운트 밸런스보다 체중을 지탱하는 힘을 얻을 수 있는 오퍼지션이 더 효율적입니다. 오퍼지션은 좌우로 다리를 뻗고 뻗은 힘으로 몸을 안정시키는 무브로 회전하는 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강한 다리 힘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기도 합니다. 카운터 밸런스도 몸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무브이나 오퍼지션에 비해 회전력을 제어하는 효과가 크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손의 부담도 줄일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두 가지 무브를 다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오퍼지션을 선택합니다. 드롭니는 오퍼지션을 대표하는 무브입니다. 움직일 때 작용과 반작용이 사용됩니다. 드롭니를 이용해 양발로 홀드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며 지지대와 같은.. 2025. 3. 24.
맨틀링 심화와 오퍼지션 맨틀링 심화 맨틀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게중심을 얼마나 빠른 속도로 양손을 이은 선에서 위로 올리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몸은 그 선보다 올라가면 안정이 되는데 그러므로 움직이기 위해 시작할 때의 빠른 속도를 이용해 한 번에 밀어 올립니다. 양손이 대고 버티는 각에 따라 손에 가해지는 부하는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대고 버티는 각도를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한 양손의 간격을 좁게 만듭니다. 한 손으로 대고 버티며 밀어 오릴 경우에는 가능한 한 몸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떠받치고 있는 가슴과 가까운 위치로 가져옵니다. 가로 방향으로 버티는 상황에서 먼 거리를 가고 싶을 때는 어깨를 밀어 넣고 팔을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며 고정합니다. 재빠르게 올라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손과 손 또는 손과 발의 라인보다 몸.. 2025. 3. 23.
하이스텝과 맨틀링은 어떻게 하는 걸까요? 플래깅 플래깅을 하고 있는 발은 밸런스를 결정합니다. 하이스텝은 움직이며 올라타는 형태의 무브입니다. 이 무브를 잘하는지에 대한 여부는 홀드를 밟고 있는 발에 체중을 싣는 것 그리고 플래깅을 하고 있는 발을 받침점의 아래에 떨어뜨리는 것에 달려 있습니다. 플래깅을 하고 있는 발의 위치 차이에 따라 무게 중심이 어떻게 바뀌는지 생각해 보자면, 왼발은 바로 아래보다 약간 왼쪽에 위치해 있음을 가정할 때 이것이 하이스텝을 할 때 플래깅을 하고 있는 발이 전에 머무른 홀드 쪽에 남아있음을 알립니다. 이 상태로 받침점에 올려 보면 왼쪽으로 크게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러면 홀드를 잡을 때 왼손을 크게 끌어당겨야 합니다. 플래깅하고 있는 발을 바로 아래에 곧게 늘어뜨리게 되면 받침점에 올려 보면 곧게 안정이 됩니다. .. 2025. 3. 22.
클라이밍에서 훅과 올라타기란? 클라이밍을 할 때 다리의 힘이 바닥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훅을 사용할 수 있을 때는 훅을 사용해야 합니다. 카운터 밸런스는 다음 홀드를 잡으러 갈 때 몸의 회전을 막기 위한 테크닉입니다. 밸런스가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해 발 홀드를 기준으로 좌우 무게를 균등히 만들어 홀드를 잡고 있는 손에서 발생하는 회전을 최소로 만들기 위한 무브입니다. 손에서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를 최소로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훅킹으로서 훅킹을 사용해 회전 모멘트를 컨트롤하는 방법을 터득해야 합니다. 훅의 장점 다리의 힘으로 몸의 회전을 멈출 수 있습니다. 훅은 회전축으로서 먼 곳에서 회전력을 멈추는 무브이므로 회전을 막는 데 큰 효과가 있습니다. 클라이밍에서는 몸의 회전을 멈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클라.. 2025. 3. 21.
아웃사이드 플래깅의 활용 무브의 전환이 자유로운 밸런스 컨트롤러입니다. 오버행에서는 왼손 잡기, 왼발 올려놓기처럼 평행으로 홀드를 잡으면 몸이 회전합니다. 이때 발을 바깥쪽으로 뻗어 몸을 크로스 시키면 균형을 잡기 좋습니다. 이 동작은 중력 작용 방향을 기준으로 발 홀드가 잡고 있는 홀드와 같은 쪽에 있고 잡아야 하는 다음 홀드는 반대쪽에 있을 때 합니다. 홀드를 손과 같이 발이 같은 쪽에서 잡고 있을 때, 밸런스를 좋게 만들기 위해서는 발을 바꿔야 합니다. 이 경우에 아웃사이드 플래깅을 사용한다면 발을 바꿔 밟지 않아도 밸런스 좋은 상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왼손 잡기, 왼발 올려놓기와 같이 평행인 상태에서 오른손을 뻗는다면 발 홀드가 현재 홀드를 잡고 있는 왼손보다도 왼쪽에 있을 때 왼발을 인사이드로 밟고 오른발을 왼쪽 바깥.. 2025.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