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클라이밍 홀드를 잡는 방법은 무엇일까?

by Autumn Kim 2025. 3. 7.
반응형

출처 : pexel

클라이밍은 전신 운동이지만 홀드와 맞닿은 부분은 손과 발뿐입니다. 그러므로 클라이밍에서는 홀딩과 풋워크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손의 구조 그리고 홀드를 잡는 효과적인 방법을 아는 것은 많은 도움이 됩니다. 발을 잘 올려놓기 위해서는 발의 구조와 암벽화의 기능을 이용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손가락과 팔의 구조를 이해하고 홀드를 잡는 효율적인 방법을 생각해야 합니다. 클라이밍에서 가장 기본은 홀드를 잡는 것인데 홀드는 클라이밍 벽이든 자연에 존재하는 암벽이든 모양과 크기가 제각각 다릅니다. 이러한 홀드를 효과적으로 잡는 방법을 말하자면, 홀드의 모양에 맞는 방식으로 잡아야 하며 손가락이나 손바닥의 마찰을 충분히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가능한 한 힘을 절약하고 무게 중심의 위치나 무브에 따라 바꿔 잡아야 합니다. 클라이밍에서는 손과 발이 벽의 접점으로서 암벽화에 감싸져 있는 발에 비해 손을 이용한 대응 방법은 변화가 많은 벽의 형상에 맞춰야 하므로 아주 다양합니다. 그러므로 정확한 홀딩이 클라이밍의 성패에 크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홀드는 주로 손가락 전체와 끝을 사용해 잡습니다. 근육은 늘었다 줄어드는 이완과 수축을 하므로 관절을 움직이게 하는 근육은 구부리는 방향의 안쪽에 붙어 있습니다. 손가락을 구부리는 역할은 전완의 안쪽에 있는 손가락굽힘근이 담당합니다. 손가락 끝이 구부러지는 것은 손가락 끝 안쪽 힘줄이 아래팔에 있는 손가락굽힘근까지 이어져 있으며 그 손가락굽힘근이 수축하기 때문입니다. 힘줄은 건초라고 하는 칼집 모양의 조직 덕분에 뼈와 관절에 고정이 되어 있습니다. 손가락굽힘근이 수축하면 원통형 구조 속에서 힘줄이 당겨져 손가락 끝이 손바닥 쪽으로 구부러집니다. 홀드의 형상에 맞게 정확하게 잡는 방법이 바로 홀딩의 모든 것입니다. 홀딩에는 많은 종류가 있는데 바위나 홀드에 맞춰 정확히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올바르게 잡는 법은 어려운 홀드를 잘 잡을 수 있게, 그리고 가능한 한 힘이 들지 않게 잡는 것입니다. 크림프 홀드를 풀크림프로 잡을 때는 작은 엣지를 잡을 때입니다. 작은 엣지를 잡는 경우 사용하는데 검지손가락에서 새끼손가락까지 네 개의 손가락을 세워 위에서부터 거는 것처럼 잡는 방법입니다. 손가락 네 개로 잡기 어려울 때는 홀드에 세로 형태의 네 개의 손가락 옆에 엄지손가락을 가로로 대거나 검지손가락 위로 겹쳐 잡는 힘을 높이는 방법도 있습니다. 홀드가 상당히 얇은 경우에 위쪽에서 홀드의 안쪽을 노리며 손가락 끝을 찌르듯이 잡습니다. 엄지손가락을 활용하면 장점이 많습니다. 검지손가락에서 새끼손가락까지 네 개의 손가락을 구부리는 것은 아래팔의 손가락 굽힘근 덕분인데 클라이밍에서 떨어지는 대부분의 경우는 손가락굽힘근의 잡는 힘이 부족하거나 피곤해서입니다. 하지만 엄지손가락을 구부리는 근육은 손가락굽힘근과는 별도이며 손바닥 안에 있습니다. 따라서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면서 잡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고 아래팔의 펌핑을 막습니다. 하프 크림프 홀딩 방식은 플랫한 홀드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홀드의 두께가 1cm를 넘기면 손가락이 벽과 직각이 될 정도에서 잡는 방법이 있는데 이때는 엄지손가락을 검지손가락 위에 겹친다거나 검지손가락의 측면에 대서 잡는 힘을 보완합니다. 홀드를 눌러 잡는 것이 중요한데, 클라이밍에서 홀드를 잡는 힘이 떨어지면 팔꿈치가 들리게 됩니다. 팔꿈치를 들어 홀드를 강하게 누르는 형태로 만들어 잡는 힘을 돕게 되는데 홀딩에서는 손가락굽힘근을 주로 사용하므로 이 부분이 피로감을 가장 받기 쉽습니다. 따라서 어깨를 중심으로 광배를 사용해 위에서부터 홀드를 찍어 누르는 방법을 통해 손가락굽힘근의 힘을 덜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강하게 눌러 찍는 방법으로는 오픈핸드라는 방법이 적합합니다. 피부가 밀리는 것을 막는 방법도 있습니다. 피부와 힘줄 뼈 사이에는 신체 조직이 있는데 그러므로 아주 작은 엣지를 잡으려고 하면 약간 밀려나게 됩니다. 예시로 엄지손가락 안쪽 그리고 검지손가락 안쪽을 맞대고 좌우로 밀면 피부가 밀립니다. 이것이 아주 작은 엣지를 잡았을 때도 생기므로 잡기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아주 작은 엣지 홀드를 잡을 때는 벽의 위쪽부터 손가락을 밀듯이 누르고 끌어와서 최종적으로 엣지 홀드 위에서 손가락이 멈추도록 합니다. 그러면 불필요하게 피부가 밀리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