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클라이밍 실력 향상을 위한 여러가지 방법

by Autumn Kim 2025. 3. 4.
반응형

이미지 출처 : pexel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클라이밍 능력이 바로 추락의 원인입니다. 클라이밍은 자연의 루트도, 인공적인 클라이밍 월의 루트도 모두 홀드가 고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몸을 홀드에 맞춰야 합니다. 예를 들어 등반하는 루트에서 자신이 없는 크림프, 슬로퍼 홀드가 나오면 그곳에서 추락하거나 많은 힘을 쓰게 됩니다. 경사가 가파른 루트에서는 끌어당기는 힘과 몸의 자세를 유지하는 복근, 등 근육이 없으면 자세를 유지하기가 힘듭니다. 어려운 기술 동작이 명확한 루트에서는 지구력이 필요합니다. 런지가 필요한 곳에서는 다이나믹이 필요하고 발 홀드가 멀어 다리 관절 가동성 등과 같은 유연성이 필요한 곳도 있습니다. 따라서 클라이밍에서는 자신에게 부족한 점을 줄여 나가야 합니다. 그것이 실력 향상의 열쇠입니다.

클라이밍 루트에서는 홀드의 간격과 크기, 배치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동할 때마다 요소들이 다양하게 변화합니다.

클라이밍에서 중요한 3개의 능력은 홀딩, 무브, 체력입니다. 움직이지 않은 대상물을 향해 몸을 맞춰 나가며 올라가는 행위 그것은 즉 홀드를 잡고 몸을 끌어 올려서 다음 홀드를 잡으러 가는 것인데 3개의 능력은 홀드를 잡는 근력, 무브를 수행하는 능력, 다음 홀드까지 몸을 끌어 올리는 근력입니다. 홀드를 잡는 능력은 물체를 잡는 능력을 말합니다. 밸런스가 좋은 자세나 발에 체중을 싣는 무브를 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손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무브를 수행하는 능력은 밸런스를 맞추며 타이밍 좋게 몸을 움직이고 발을 올리는 동작입니다. 무브를 수행하기 위해서 일정 수준의 유연성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다음 홀드까지 몸을 끌어 올리는 근력은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효율적인 무브, 다리 힘을 이용할 수 있는 자세를 수행하는 것으로 당기는 힘을 줄이게 됩니다. 이러한 능력들은 각각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모든 능력이 서로 관련이 있으며 연동하면서 하나의 클라이밍 동작을 만듭니다. 클라이밍은 다른 수많은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체력과 기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근력 면에서는 오르면 오를수록 근육은 발달하면서 향상이 됩니다. 테크닉 기술은 무의식 상태에서도 발전해 나갈 수 있으나 의식적으로 새로운 스킬을 배우지 않으면 향상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클라이밍의 실력 향상을 위한 열쇠는 기술과 체력입니다. 클라이밍 실력 향상, 즉 난이도 높은 루트를 오르기 위해서 기술적인 능력, 체력적인 능력 모두가 필요합니다. 어느 한쪽이 뒤떨어지면 실력 향상에 한계가 오기도 합니다. 체력 요소와 기술 요소는 일정 수준 정도의 차이라면 서로 보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뛰어나더라도 홀드를 잡는 힘이 없으면 나아갈 수 없는 곳이 있거나 턱걸이를 한 팔로 10개나 할 수 있더라도 발에 체중을 싣는 무브를 모른다면 결국에는 힘이 떨어집니다. 이렇듯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수준의 차이가 클 경우에 실력 향상에 한계가 있습니다.

예시로 고등학생의 평균 턱걸이 횟수는 7개인데 일반적인 남자 클라이머는 10개 이상 가능합니다. 정상급 클라이머라면 턱걸이 20회는 거의 누구나 가능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체력적인 능력들은 클라이머의 등급이 높아질수록 더 강한 기초 체력이 요구됩니다. 중급, 상급 클라이머로 올라감에 따라 요구되는 체력 그리고 기술은 높아집니다.

근력은 최대 근력의 70%를 하루에 6초만 사용해도 향상된다고 합니다. 오르면 오를수록 근력은 향상이 됩니다. 클라이밍을 시작한 처음에는 오르는 것만으로도 잡는 힘이나 끌어당기는 힘 등 클라이밍에 필요한 근력이 생기게 됩니다. 효과적인 근력 향상을 위해 적절한 부하와 트레이닝 시간이 필요합니다. 가파른 오버행 혹은 루프를 등반할 때 근력이 약해서 어려움을 겪는 클라이머라면 턱걸이 능력이 부족한 것이 원인일 수도 있지만 복근이나 등 근육처럼 자세를 안정시키는 근력이 부족한 것이 가파른 경사로 된 벽을 오르지 못하는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자세를 안정시키도록 도와주는 근력들이 부족하면 허리가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벽에서 멀어지는데 그러면 정확한 무브를 할 수 없게 됩니다.

캠퍼스 보드는 근력을 키우기 위해서보다는 폭발적으로 끌어당기거나 잡는 힘을 키우기 위한 트레이닝이라서 이러한 트레이닝은 시작 단계에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