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밍의 테크닉이란, 파워를 잘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존재입니다.
클라이밍 테크닉과 능력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잡는 힘과 끌어당기는 힘을 도와주는 능력을 클라이밍 테크닉이라고 합니다. 힘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기도 한데, 잡을 수 없는 홀드를 잡을 수 있게 한다던가 끌어당기지 못하는 거리를 끌어당기게 할 수 있게 하는 능력이기도 합니다. 클라이밍 테크닉은 무브입니다. 효과적인 무브는 잡을 수 없는 것을 잡을 수 있게 합니다. 잡기 곤란한 홀드를 잡거나 먼거리에 있는 홀드에 손을 닿게 하는 근력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을 테크닉이자 무브라고 합니다. 무브는 근력을 도와 근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수행하는 동작입니다.
테크닉은 발, 파워는 손이 담당합니다. 클라이밍 테크닉은 발힘의 활용에 있습니다. 보통 다리 힘은 팔 힘의 3배 이상이나 됩니다. 턱걸이를 수십 개 하는 것은 힘들지만 수십 개의 스쿼트는 좀 더 수월합니다. 클라이밍 같은 운동을 하는 도중에는 손가락이 점차 버틸 수 없게 되거나 팔의 잡아당기는 힘이 줄어드는 것은 보아도, 다리 힘이 부족한 경우는 드뭅니다. 궁극적으로 클라이밍 테크닉은 발에 힘이 얼마나 실어져 팔의 힘을 줄일 수 있냐 하는 것입니다. 클라이밍은 손가락을 굽혔을 때의 힘을 보존하는 운동입니다. 위로 올라가기 위한 추진력으로 다리 힘을 얼마나 이용할 수 있는지는 열쇠입니다. 클라이밍 테크닉은 발에 얼마나 체중을 실을 수 있는가이기도 합니다. 무브의 완성도는 발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사용하는지에 결정이 됩니다. 다리 힘은 일상생활에서도 사용하고 있어 기본 지구력이 있습니다. 게다가 최대 근력도 팔의 몇 배나 됩니다. 클라이밍에서 손은 목표로 삼은 방향을 향해 끌어당기는 움직임을 하고, 다리는 밀고 올라가는 움직임을 하므로 손의 리드가 없으면 방향을 결정할 수 없습니다. 클라이밍의 이상적인 움직임은 손으로 몸을 진행 방향으로 이끌고 다리 힘으로 추진력을 얻는 방법입니다. 클라이밍을 하는 데 다리 힘은 남아돌 정도로 충분하므로 다리가 세다고 해서 높게 평가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손의 힘은 한계가 있어 파워가 있는 클라이머는 팔 힘이 강한 클라이머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클라이밍은 루트에 있는 구간에 몸을 맞춰 나가는 상황의 연속입니다. 각각의 홀드 위치로 정확히 몸을 맞춰나가는 것은 무브입니다. 어떠한 무브를 사용하는 지는 홀드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많은 무브들은 발 홀드 위치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홀드의 배치가 움직이는 순서를 결정하기도 합니다. 클라이밍에서는 손이 올바른 순서에 따라 움직이고 발은 무브를 결정합니다. 효과적인 클라이밍 무브는 물리적 요소의 합리적 구성입니다. 밸런스가 좋고, 발에 대한 체중 부담이 적고, 적절한 동적 무브의 스피드 등 가장 적합한 동작 메커니즘을 보았을 때 모두 물리적 요소가 적절히 적용이 되어 있습니다. 클라이밍에서 중요한 물리적 요소는 힘의 모멘트, 관성의 법칙, 가속도, 작용과 반작용입니다. 무브의 대부분은 발 홀드의 위치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그리고 그 무브들은 물리적 요소에 따라 분류가 됩니다. 클라이밍 무브는 종류가 많고 각각의 무브는 일정한 유사점이 있는 그룹으로 묶입니다. 이러한 무브들을 물리적 요소 차이에 따라 분류하면, 균형잡기, 올라타기, 작용과 반작용, 동적 무브가 됩니다. 힘의 모멘트는 효율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모멘트는 물체를 회전시키는 힘인데, 클라이밍에서는 무브를 하려고 하면 뒤쪽으로 몸이 젖혀져 회전할 것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몸의 중심 위치를 바꾸는 것에 따라 손에 가해지는 부담감이 많거나 적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들에는 모두 힘의 모멘트가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계단을 천천히 걸어 올라가는 것보다 잠깐이라면 뛰어 올라가는 것이 편하게 느껴지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은 관성의 법칙 때문입니다. 연속 동작인 보내는 무브에서 첫 홀드를 잡고 움직임을 멈추지 않은 상태로 자세를 유지하면서 다음 홀드로 향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작의 흐르는 힘을 끊지 않고 전진하는 것이 관성의 법칙을 이용한 무브입니다. 볼더링에서의 2단 런지 혹은 시간차 런지 등도 관성의 법칙을 이용해 동작의 흐르는 힘을 끊지 않도록 하는 동적 무브입니다.
흐름을 멈추지 않는 무브를 보내기 무브라고 합니다. 양손으로 홀드를 잡은 시작 자세에서 오른손을 뻗고 다른 홀드를 잡은 순간 최종적으로 잡고자 하는 다음 홀드로 나아가는 추진력을 만들기 위해 아직 몸 전체는 위로 움직이는 상태가 됩니다. 만약 두 번째로 잡고자 하는 홀드를 잡는 순간 움직임을 멈추게 되면 정지 상태가 되고 다시 동작을 시작하는 불필요한 힘을 사용하게 됩니다.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이밍 홀드를 잡는 방법은 무엇일까? (0) | 2025.03.07 |
---|---|
클라이밍에서의 가속도, 작용과 반작용 (0) | 2025.03.06 |
클라이밍 실력 향상을 위한 여러가지 방법 (0) | 2025.03.04 |
발 모양에 맞는 클라이밍 신발의 관리 방법 및 옷 (0) | 2025.03.03 |
힘의 흡수와 힘의 발휘, 볼더링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