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클라이머의 활차 부상

by Autumn Kim 2025. 2. 7.
반응형

 

클라이머가 겪는 가장 흔한 손가락 부상은 굴곡건의 윤상 활차가 찢기거나 파열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활차 하나가 일부 찢어지는데, 심각한 경우는 활차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완전히 파열되는 것입니다.

휨 현상이 손으로 만져질 수도 있고 눈으로 확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활차 부상의 정도는 보통 초음파로 측정합니다.

일부 추가 진단을 위해서 자기공명 화상법을 활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윤상 활차 중 A2 활차가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140건의 활차 부상을 분석한 최근 연구에서는 A4 활차 부상이 더 많아진 결과를 보입니다.

두 부상의 정도는 경미한 수준에서 부분 열상, 심한 경우 완전 파열까지 다양합니다.

작은 열상은 대개 천천히 생깁니다. 몇 차례의 클라이밍이나 며칠 동안의 클라이밍, 또는 클라이밍 시즌 전반에 걸쳐 진전됩니다.

크림프 그립은 윤상 활차에 엄청난 물리력을 가하기 때문에 오픈 핸드 그립보다 스트레스가 심하기도 합니다.

이보다는 덜 흔하지만, 아주 작은 크림프 홀드나 한 손가락만 들어가는 포켓 홀드에서 최대치 동작을 취할 때 급성 파열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뚝, 소리가 났거나 그런 느낌을 받았다고 증언을 하는 클라이머들도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심각한 부분 파열 혹은 완전 파열이 발생했다는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다른 부상을 통해서도 이런 소리가 날 수도 있습니다.

부상의 정도에 따라 미미한 통증과 부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우유 통을 드는 것조차 힘들 만큼 심각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습니다.

부기로 인해 손가락이 구부러지지 않기도 하고, 추가 파열로 휨 현상이 만져지거나 보일 수도 있습니다.

가벼운 열상은 손가락을 움직일 때 말고는 아무런 증상을 추가로 느끼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홀드를 잡을 때처럼 등척 수축하거나 손바닥 위쪽, 손가락 시작점을 누르면 통증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부상 처치의 첫 단계는 먼저 클라이밍을 중지해야 합니다.

부상 당한 손가락도 쓰면 안 됩니다. 어떤 활동이든 통증이 유발된다면 조직 치유는 힘들어지고 사태는 악화할 것입니다.

따라서 클라이밍 중 손가락 통증이 커진다면 즉시 멈추고 추가 손상을 막아야 합니다.

약한 수준의 비틀어짐은 몇 주가 지나야 치유됩니다.

하지만 통증을 무시하고 부상을 무릅쓴 채 클라이밍 하면 더 심각한 파열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그러면 훨씬 더 오랫동안 클라이밍을 못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부상을 당하고 며칠 동안 해야 할 일은, 염증이 있다면 얼음찜질해야하고 비스테로이드소염제인 이부프로펜이나 나프로신을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항염증제 복용은 5일 이내에는 중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간 복용은 치유를 저해하고 오히려 힘줄을 약하게 만듭니다.

손가락에 부목을 대거나 옆 손가락과 함께 테이핑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부기가 빠지면 발포 고무나 큰 스펀지, 고무공으로 매일 손가락 굽히기 연습을 하면 좋습니다.

치료뿐만 아니라 힘줄을 다시 구축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열상의 심각성에 따라 통증은 2~10주 정도 지속됩니다.

통증이 사라졌다고 해서 바로 클라이밍을 해도 좋은 것은 아닙니다.

많은 클라이머가 이 지점에서 잘못을 저지르는데 클라이밍을 너무 빨리 재개를 하면 아직 약한 조직이 또 다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사라졌다고 해도 2주는 기다리고 가벼운 클라이밍부터 차차 시작해야 합니다.

심각하지 않은 활차 부상은 보통 45일간 클라이밍을 중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완전 파열이나 다중 파열의 경우에는 복원 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손 전문 외과에서는 윤상 활차 복원 수술이 드물지 않습니다.

클라이밍이 아닌 상황에서 깊은 열상으로 인한 힘줄 활차가 손상을 입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자유 힘줄 이식술은 활차 복원에 가장 많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호주에서 실시한 연구에서는 윤상 활차 복원술 후 오랜 기간의 회복기를 거치고 난 뒤에 기능과 주관적인 느낌에서 좋은 평가가 있기도 하였습니다.

클라이밍 부상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이자 활차 수술에서 뛰어난 성공을 보인 쇠플은 활차 하나의 부상일 경우 보수적인 견지에서 수술 없이 치료하는 방법을 권하기도 합니다.

활차 두 개가 완전히 파열되었을 때만 복원술을 추천합니다.

다른 종류의 부상들도 윤상 활차 부상과 비슷한 통증과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혼자 진단을 내리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어떤 질환인지 알기 위해 외과 의사를 찾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압박이 반복되면 천지굴근 힘줄이나 심지굴근 힘줄에서 염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 통증이 손가락 안쪽으로 한정되거나 손바닥, 전완까지도 확장이 가능합니다.

이때는 장기간 휴식을 취하는 것이 통상적인 처치법입니다.

통증이 멈추고 몇 주 지나면 차차 클라이밍을 재개할 수도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굴곡건염 진단 후 대개 건초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지 건에 생긴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엄밀히 건초염으로 진단하는 것이 맞습니다.

명칭이 무엇이든 간에 과사용 부상으로 인한 건초의 염증은 굴곡건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고 통증과 염증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손가락을 움직일 때마다 무지근한 통증이 힘줄로 발산되는 것은 주된 증상입니다.

클라이밍을 중단하고 활차 부상 처치법을 따라야 합니다.

굴곡건이 파열되거나 부착면에서 떨어질 수 있는데, 젭슨에 따르면 천지굴근 힘줄 파열은 크림프 그립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지굴근 힘줄 파열은 오픈 핸드 포켓 그립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주된 증상은 힘줄 부착 지점의 통증과 손가락 부기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