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럭스를 넘는 방법을 연구하듯이 효과적인 휴식 지점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 휴식을 취하는 자세가 좋지 못하면 체력을 회복하는 기회를 놓칠 수도 있으며 다음 등반 구간을 미리 준비하는 기회도 잃게 됩니다.
따라서 루트에서 휴식의 위치를 찾는 것은 핵심 홀드를 찾는 것처럼 중요합니다.
휴식
클라이밍을 시작하기 전 루트를 관찰할 때부터 휴식 지점 역시 찾아보아야 합니다.
중간에 쉴 만한 곳의 위치와 어떤 자세로 쉬면 좋을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전완근, 장딴지, 이두근 등 지친 근육을 쉬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할지, 발 홀드 사이가 어깨너비보다 좁게 된다면 다리는 어떤 상태여야 할지, 엉덩이는 발 위나 두 발 사이에 오도록 하여 최적의 휴식 자세를 취합니다.
루트가 완만하다면 상체를 아주 편하게 해야 하고 양손을 쓰지 않고도 쉴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편한 경우를 고난도에서는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경사도가 수직이거나 오버행인 루트에서는 두 다리에만 체중을 싣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발에 체중을 싣고 싶어도 어쩔 수 없이 팔에 의지해야 하는데, 반드시 팔을 곧게 펴야만 합니다.
그래야 근육이 아닌 뼈대로 지지가 가능합니다.
꽤 난이도가 높은 루트를 오를 때도 짧게 휴식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면 기초를 착실하게 다질 수 있습니다. 끝없는 연습, 그리고 창의적인 응용만이 어려운 동작을 해결하고 적절한 휴식을 찾아낼 수 있는 비결입니다.
무작정 힘이 세다고 훌륭한 클라이머가 될 수는 없습니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등반과 적절히 쉬는 동작이 있어야만 마음껏 역량을 펼칠 수가 있습니다.
플래깅
플래깅은 좌우 손발의 조합이 불가능할 때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씁니다.
오른손, 오른발 조합으로 동작을 취한다고 했을 때, 위로 뻗으려고 왼손을 놓게 되는 순간, 흔들리는 문처럼 몸이 출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 회전을 맞서기는 무척 어렵습니다. 또한 종종 추락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자유로운 발로 단순한 플래깅 동작을 취하게 된다면 안정감과 균형감이 크게 상승합니다.
몸의 무게중심은 지탱하는 오른발 위에 있고 오른손 아래로 더 옮깁니다.
플래깅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지탱하는 발이 인사이드인지 아웃사이드인지에 달려 있습니다.
오른발 인사이드로 밟고 오른손으로 당길 때 몸이 펼쳐지지 않으려면 왼발을 오른발 뒤로 보내야 합니다.
반면 지탱하는 발이 아웃사이드로 밟고 있다면 자유로운 왼발은 벽을 따라 펼치고 균형점을 찾아야 합니다.
여기에서 왼발이 발 홀드나 벽 돌기를 찾아 딛고 펼치게 된다면 운이 좋은 것입니다.
먼저 수직 벽에서 플래깅 기술을 연습하고 오버행에서도 실시하면 좋습니다.
맨틀링 그리고 손발 합치기
홀드 사이가 멀게 되면 종종 맨틀링을 해야 합니다.
맨틀링은 홀드의 크기에 따라 손바닥 전체를 내리누르거나 손가락 끝으로만 하기도 합니다.
밀고 당기는 양손 조합으로서 꽤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한쪽 발, 또는 양발 모두 전진을 시킬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에는 맨틀링을 하기 위해 잡고 있는 홀드에 발을 합치기도 합니다.
잡고 있는 손과 같은 방향 발이고 이 발 위로 무게중심을 옮겨 일어섭니다.
고난도 루트에서는 무척 작은 크림프 홀드나 손가락 포켓 홀드에 발을 교묘히 걸쳐서 올려야 합니다.
이처럼 아슬아슬하고 어려운 동작 가운데서도 추진력을 잃지 않으려면 신속하고 정확히 움직여야 합니다.
트위스트락
트위스트락은 자세가 좋으면 홀드를 잡기 위해 손을 뻗을 때 놀랄 만큼 힘이 적게 듭니다.
가파른 벽에서도 능률적으로 몸을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하지만 트위스트락 기술을 능숙하게 하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처음에 이 기술을 사용할 때는 오히려 똑바로 오르는 것보다 훨씬 힘들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꾸준히 연습하면 언젠가는 몸에 익숙해질 것입니다.
처음 연습할 때는 직벽에서 살짝만 기울어진 오버행 볼더링에서 해봅니다.
충분히 연습했다면 이보다 더 가파른 볼더링 문제나 오버행 톱로핑 등반에도 적용해 보면 좋습니다.
힐훅
루프 끝을 넘어설 때, 혹은 볼더링 마지막 구간에 올라설 때, 가파른 벽에서 짧게 휴식을 보낼 때 요긴하게 쓸 수 있습니다. 손은 얼굴이나 그보다 높은 곳의 홀드에 두어야 하고, 발뒤꿈치를 엉덩이와 어깨 사이의 높이 옆 방향 홀드에 올립니다.
어느 쪽 발꿈치로 후킹을 하는지는 두 가지 요건에 좌우가 됩니다.
뒤꿈치를 놓을 만한 적당한 크기의 홀드가 있는지, 혹은 잡고자 하는 다음 손 홀드가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손 홀드는 훅 동작을 하는 발과 같은 방향의 손으로 잡으면 좋습니다.
오른손으로 다음 홀드를 잡아야겠다면 오른쪽 발뒤꿈치로 훅을 합니다. 발을 올려놓았으면, 이 발을 마치 세 번째 손인 것처럼 여기며 당깁니다.
발뒤꿈치를 엉덩이 방향으로 당기며 근육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몸의 무게중심은 훅을 한 발로 옮겨지기가 쉽습니다. 반대쪽 발은 인사이드로 밟거나 문질러 딛기를 하며 몸을 올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올라갔다면 신속하게 손을 뻗어 다음 홀드를 잡고 훅을 통상적으로 밟아 딛기 자세로 바꿉니다.
런지
손과 발을 벽에서 떼고 점프하면서 멀리 있는 홀드를 잡는 기술입니다.
양손과 양발을 모두 뗄 때는 다이노라고 부릅니다.
데드포인트가 조심스럽게 통제된 동작이라면, 런지는 이보다는 역동적입니다.
런지를 시도했을 때는 결과는 둘 중 하나입니다.
목표 홀드를 무사히 잡아 평정을 찾았거나, 아니면 실패해 추락하는 것입니다.
대다수의 기술처럼 런지 역시 제대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습 그리고 자신감이 필요합니다.
역동적이고 부담스럽기 때문에 어깨에 부상을 입는 수도 있습니다.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성, 안정성, 길항근 트레이닝 (0) | 2025.01.12 |
---|---|
자가진단과 목표 설정 (0) | 2025.01.12 |
기본 기술 (0) | 2025.01.11 |
기술 습득력과 스키마를 향상시키는 법 (0) | 2025.01.11 |
향상 사이클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