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꿔 잡기
바꿔 잡기에는 손을 일자로 겹쳐 잡는 방법과 세로 방향으로 바꿔 잡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 다른 잡기 방법에는 최초의 손으로 홀드의 양 사이드를 손 사이에 까우듯 잡는 것이 있습니다. 이때의 손 모양이 컵 모양의 핀치 그립이 됩니다. 오는 손으로 홀드의 윗면을 잡고 처음 손을 빼면 바꿔 잡기가 완성됩니다. 이러한 바꿔 잡기 방법은 홀드가 두께가 있으며 좁을 때 사용합니다. 처음에 잡은 손이 홀드를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으로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지, 다음 손이 홀드의 좋은 곳을 잡을 수 있는지 없는지 아는 것이 성패의 요인입니다. 처음에 잡은 손이 위쪽을 잡으면 다음 손을 컵 모양으로 끼워 넣을 수 없어 순서를 반대로 할 수 없습니다.
바꿔 잡는 방법은 볼록한 형태의 코너로 된 부분에서 세로 형태의 홀드를 바꿔 잡을 때에도 사용합니다. 이때 코너의 한쪽에서 반대로 한 번에 몸의 방향을 바꿔 스윙하는 것이 비결입니다. 전의 바꿔 잡기 동작은 빠르게 이동하며 정적인 방법으로는 바꿔 잡을 수 없는 홀드를 잡을 때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바꿔 잡기를 확실히 사용하고 싶어도 바꿔 잡기가 어려울 때는 정확히 바꿔 잡으려는 것이 힘의 손실로 이어집니다. 바꿔 잡기에는 다소 좋지 않아도 그다음 홀드가 잡기 좋으면 바꿔 잡은 상태가 좋지 않아도 그대로 다음 홀드로 가기 위한 데드포인트를 사용해 이동합니다.
크로스
크로스 무브는 실제 암벽등반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인공 루트에서는 종종 사용합니다. 크로스는 진행하고 나면 돌이키는 것이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이 무브를 선택하기 전에 다른 방법을 시도하거나 크로스를 적용할지도 판단해야 합니다. 수평 이동 혹은 사선으로 올라가는 부분에서 바꿔 잡을 수는 있으나 홀드가 별로 좋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바꿔 잡기를 해서 나아가면 나쁜 홀딩을 연속으로 2번 해야만 하는 곳에서 크로스 무브를 이용해 이동하면 한 번의 무브로 해결하기도 합니다. 크로스에는 뻗는 손이 잡은 손의 위로 진행하는 경우, 그리고 아래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크로스를 해야 하는 홀드의 상하 위치 관계에 따라 결정이 되나 홀드가 향한 방향에 의한 차이도 있어 손을 뻗기 전에 잘 생각해야 합니다. 크로스에서는 손을 교차하고 체중 이동을 하거나 몸을 회전시키므로 몸의 위치가 바뀔 때의 밸런스에 주의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체중을 발에 실어 간결한 동작을 합니다. 크로스에서 시간을 길게 끌지 않고 될 수 있는 한 빠르게 움직여야 합니다. 크로스 무브는 동작의 순서를 간단히 만들 수 있지만 몸이 전환된 후에는 한 손으로 긴 거리를 당기는 경우가 많아 밸런스를 고려했을 때나 부상 예방을 위해서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크로스는 손을 이용한 순서를 따르므로 무브적으로는 카운터 밸런스나 하이스텝을 하며 크로스를 하는 듯한 움직임입니다. 그중 가장 곡예 느낌이 나는 것은 루프에서의 크로스입니다. 드롭니를 받아치는 크로스는 몸을 반전시키는 움직임이 동반되어 난이도 높은 스킬이 필요합니다.
드롭니 동작을 이용해 아래에서 이루어지는 크로스의 예입니다. 다음 홀드가 잡고 있는 손의 아래에 위치했을 때 사용합니다. 위에서 크로스를 할 때는 몸이 회전하는 동작 중에 겨드랑이 사이가 벌어져 몸을 벽에 밀착시켜 다음 홀드로 가고 싶은 상황에도 아래로 교차하는 편이 더 효과적입니다. 홀드의 위치 관계만으로 교차하는 손의 위와 아래는 결정이 되지 않습니다. 드롭니 무브를 이용해 위에서부터 시작하는 크로스의 예입니다. 다음 홀드가 위쪽에 있을 때 위에서부터 시작하는 크로스가 기본입니다. 밑에서부터 크로스했을 경우에 오른팔의 겨드랑이 밑으로 왼손이 들어가게 하므로 오른손이 방해가 되어 거리를 제대로 낼 수 없습니다. 몸이 전환되는 움직임에서는 밑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어깨가 벽에 가까워 발에 체중을 더 실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밸런스를 유지하기 애매한 경우에 밑에서부터 시작하는 크로스를 선택해야 합니다.
무게 중심을 내리며 간결하게 드는 방법
크로스 무브를 할 때는 손으로 아래의 시야를 가리기 떄문에 발 홀드가 잘 안 보입니다. 손을 크로스한 상태는 밸런스가 안 좋은 것이므로 그때 새로운 발 홀드에 발을 뻗고 바꿔 밟는 동작을 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크로스를 하기 전에 발을 확실히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루프에서의 크로스는 한 번 발이 떨어지면 몸이 회전하게 되어 두 번 다시 같은 상태로 돌아올 수 없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크로스는 허리가 높은 곳에 있는 자세에서 수행하면 손의 각도가 커 홀드를 잡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허리를 내려 무브를 수행하는 것이 홀드를 아래쪽에서 잡을 수 있고 쉽게 홀드를 놓치지 않습니다. 크로스 동작은 무게 중심을 내려 간결하고 빠르게 돌아야 합니다.
'등반력 향상을 위한 훈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이밍 동작에도 순서가 있을까? (0) | 2025.03.30 |
---|---|
사이퍼, 역사이퍼, 캠퍼스 런지는 무엇일까? (0) | 2025.03.29 |
클라이밍에서 다이내믹한 움직임에는 무엇이 있을까? (0) | 2025.03.28 |
런지의 여러가지 방법은 무엇일까? (0) | 2025.03.27 |
클라이밍에서의 동적 무브 (0) | 2025.03.26 |